메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 ‘중국’ 최고 인기 차 브랜드는?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공을 들여왔다. 그 결과 한 세대 만에 세계 2위의 자동차 수출국,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국으로 우뚝 섰다. 중국인의 소득 수준 향상에 힘입어 자동차 시장 또한 2009년부터 세계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17년 2902만 대로 정점을 찍고 코로나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 2523만 대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생산량은 2694만 대로 그 가운데 11%인 311만 대가 수출됐다. 이는 중국의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200만 대를 돌파한 2021년 대비 54.4% 증가한 수치다.

중국의 자동차 생산은 상하이자동차(SAIC, 上汽), 제일자동차(FAW, 一汽), 둥펑(东风) 등 국영 기업들이 오랫동안 주도했지만 최근 비야디(比亞迪, BYD), 지리(吉利, Geely) 등 신에너지차 중심의 민간 기업들이 생산력을 급속도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수출된 중국산 자동차 가운데 신에너지차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21.8%에 달했다.

 

자동차 판매량 역시 2017년 2888만 대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후 2020년 2531만 대까지 하락했다가 2021년 2628만 대, 2022년 2718만 대로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한동안 폭스바겐, 제너럴모터스(GM), BMW, 도요타 등 외국 완성차업체들이 시장을 장악했지만 중국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중국 업체들의 기술 도약 노력으로 토종 브랜드들이 빠르게 성장하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2022년 중국 승용차 시장의 국가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중국 토종 브랜드가 44.4%로 1위 자리에 올라 있다. 이어 독일과 일본 브랜드가 각각 20.6%의 점유율로 공동 2위를, 미국 브랜드와 한국 브랜드가 10.2%와 2.4%로 4~5위를 차지하고 있다.

 

 

개별 자동차 브랜드 중에서는 어떤 업체가 인기가 높았을까? 2022년 총 15개 자동차 제조업체가 중국 시장에서 연간 판매량 50만 대를 넘어섰으며 그 중 4개는 연간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했다.

1위는 비야디로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 대비 122.59% 증가한 160만3217대였다. 비야디는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을 선언하고 신에너지차에 전념하면서 급성장해 현재 시가총액 기준 테슬라, 도요타에 이은 세계 3위 자동차 업체로 자리 잡았다.

2위는 상하이자동차(上汽)-폭스바겐으로 119만2032대가 판매됐다. 3위는 광저우자동차(广汽)-도요타로 100만6797대, 4위는 제일자동차(一汽)-폭스바겐으로 100만2145대가 판매됐다.

이어 5위는 창안(长安)자동차 92만5887대, 6위는 상하이자동차-GM-우링(SGMW) 81만9256대, 7위는 제일자동차-도요타 80만7389대, 8위는 지리자동차 79만7835대, 9위는 둥펑-닛산 79만3746대, 10위는 광저우자동차-혼다 72만3062대였다.

중국 로컬기업과의 합자 형태가 아닌 외자기업 단독 투자법인인 테슬라는 전년 대비 36.93% 증가한 44만1697대(18위)를, 베이징현대는 전년 대비 31.96% 감소한 26만390대(22위)를 각각 기록했다.

 

2022년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브랜드는 전반적으로 판매량이 크게 하락했다.

수입차 브랜드 1위인 렉서스가 18만3983대(27위)로 전년 대비 16.06% 감소했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는 전년 대비 8.15% 감소한 14만9056대(32위), BMW는 전년 대비 31.87% 감소한 11만2322대(42위), 아우디는 전년 대비 43.02% 감소한 4만4551대(58위), 랜드로버는 전년 대비 11.03% 감소한 3만7289대(60위)로 집계됐다.

포르쉐는 수입차 브랜드 중 거의 유일하게 전년 대비 증가(1.16%)를 기록하며 9만4668대(48위)가 판매됐다.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판매량 8년 연속 세계 1위

 

중국 자동차 시장의 특징은 신에너지차(순수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연료전지차) 비중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 높다는 점이다. 작년 중국 내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705만8000대와 688만7000대에 달해 8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 정부의 구매 보조금 지원이 확대 연장되면서 2021년부터 신에너지차 판매가 급증했다. 2022년 신에너지차의 중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25.6%로 전년 대비 12.1%포인트 높아졌으며 전 세계 판매량의 약 60%를 차지했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신에너지차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순수전기차는 294만2000대로 전체의 82.9%를 차지했다. 이어 하이브리드차가 60만1000대로 17%, 연료전지차가 1777대로 0.05%로 집계됐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