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귀 밝을 총(聰), 지혜의 시작은 듣는 것이다.

 

지혜롭고 싶은가?

슬기롭고 싶은가?

 

지혜의 본질이 뭔지 알아야 한다.

 

지혜의 본질은 하나다.

지혜는 정보다.

정보의 양이 지혜의 깊이다.

 

정보가 많을수록

정보가 다양할수록

지혜의 폭도

지혜의 깊이도

넓고 깊어진다.

 

세상의 정보는 눈과 귀로

접한다.

동영상의 시대는 눈이지만,

과거 고대에는 귀였다.

 

귀를 열어 놓아

많은 이야기를 듣는 게 바로

지혜의 시작이었다.

 

기억력이 좋다, 영리하다는 뜻의 총명(聰明),

그 중에서도

총(聰)의 시작은 귀(耳)에 있다.

 

갑골자에서 총(聰)은

귀와 생각 사(思)의 회의다.

 

 

사(思)는 심장에서 머리를 말한다.

사(思) 위 부분은

신생아 머리의 열린 부분을 형상화한 부호다.

신생아의 대천문을 말한다.

 

중국 바이두에서는

총(聰)의 생각 사(思)부분을

그냥

귀로 마음의 창을 여는 것이라 설명한다.

 

그 역시 멋진 해석이다 싶다.

듣고 생각하는 게

총(聰)이라는 해석이다.

귀로 마음의 창문을 연다는 해석과

그 본의를 다르지 않다.

 

중요한 것은

지혜는 남의 말을

듣는 데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말을 놓고

생각하는 데

지혜의 완성이 있다.

 

듣고 생각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 때

귀로 들은

데이터가 정보로 쌓이고

정보가 쌓이는 게

바로 지혜가 깊어지는 것이다.

 

지혜롭고 싶은가?

슬기롭고 싶은가?

그럼

먼저 남의 말을 들으라.

듣고 생각해

자신의 정보를 도출해라.

 

듣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자기를 잃고

들음 없이

생각만 있으면 위태롭다.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부사즉망 사이불학즉태: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지럽기만 하고, 생각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공자가 풀어준 총(聰)의 도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