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 Top 10, 1위 완스푸(万师傅)

 

 

스마트폰이 없이 외출을 했다? 참 곤란하다. 옛날이라면 곳곳에 공중전화라도 있지만, 지금은 공중전화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무엇보다 머리 속에 외우고 있는 전화번호가 거의 없다. 과거에는 가족, 친구 전화번호 정도는 외웠지만 스마트폰이 내 손에 쥐어지고 나서는 전화번호 외우는 게 거의 없다. 심지어 내집 전화번호도 못외운다.

이게 IT시대 인간의 모습이다. 손 안에 작은 컴퓨터를 들고 다니다 보니 대단히 똑똑해졌지만, 그 컴퓨터가 작동을 잠시라도 멈추면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집안의 컴퓨터가 망가져도 마찬가지다. 집안에 와이파이가 잠시라도 불통이면 당장 아이들 입에서 큰 소리가 나온다.

"엄마, 아빠! 게임이 돌아가질 않아!!! 빨리 고쳐줘!!!"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편리한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전문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 업체인 iiMedia Ranking이 '2023년 중국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 Top 10'을 발표했다. 해당 순위는 모니터링 기간 동안 기업의 기본 역량, 이행 능력, 시장 성과, 인터넷 전파, 분석가 평가 등 5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됐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완스푸(万师傅)

2위 징동푸우+(京东服务+)

3위 쥬어(啄木鸟)

4위 루빤따오쟈(鲁班到家)

5위 치빙따오쟈(奇兵到家)

6위 쟝둬둬(匠多多)

7위 따오웨이(到位)

8위 션공007(神工007)

9위 이안쥐(蚁安居)

10위 스푸빵(师傅邦)

 

완스푸가 종합평점 87.43점으로 1위에 올랐으며 이어 징동푸우+(87.16), 쥬어(86.72), 루빤따오쟈(83.41), 치빙따오쟈(82.67)가 2~5위를 차지했다.

한국에서도 조금씩 사업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게 스마트 홈시스템이다. 이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보다 한발 앞서가는 듯 싶어 주목된다. 그동안 사회 트렌드 변화는 일본이 가장 빠르고, 그 뒤를 한국이 다시 중국이 이어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제 변화는 다시 중국에서 생기고 한국으로 전파되는 것이다. 마치 고대 중국 문화가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파됐던 것처럼 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