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 Top 10, 1위 완스푸(万师傅)

 

 

스마트폰이 없이 외출을 했다? 참 곤란하다. 옛날이라면 곳곳에 공중전화라도 있지만, 지금은 공중전화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무엇보다 머리 속에 외우고 있는 전화번호가 거의 없다. 과거에는 가족, 친구 전화번호 정도는 외웠지만 스마트폰이 내 손에 쥐어지고 나서는 전화번호 외우는 게 거의 없다. 심지어 내집 전화번호도 못외운다.

이게 IT시대 인간의 모습이다. 손 안에 작은 컴퓨터를 들고 다니다 보니 대단히 똑똑해졌지만, 그 컴퓨터가 작동을 잠시라도 멈추면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집안의 컴퓨터가 망가져도 마찬가지다. 집안에 와이파이가 잠시라도 불통이면 당장 아이들 입에서 큰 소리가 나온다.

"엄마, 아빠! 게임이 돌아가질 않아!!! 빨리 고쳐줘!!!"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편리한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전문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 업체인 iiMedia Ranking이 '2023년 중국 인터넷 홈 애프터서비스 플랫폼 Top 10'을 발표했다. 해당 순위는 모니터링 기간 동안 기업의 기본 역량, 이행 능력, 시장 성과, 인터넷 전파, 분석가 평가 등 5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됐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완스푸(万师傅)

2위 징동푸우+(京东服务+)

3위 쥬어(啄木鸟)

4위 루빤따오쟈(鲁班到家)

5위 치빙따오쟈(奇兵到家)

6위 쟝둬둬(匠多多)

7위 따오웨이(到位)

8위 션공007(神工007)

9위 이안쥐(蚁安居)

10위 스푸빵(师傅邦)

 

완스푸가 종합평점 87.43점으로 1위에 올랐으며 이어 징동푸우+(87.16), 쥬어(86.72), 루빤따오쟈(83.41), 치빙따오쟈(82.67)가 2~5위를 차지했다.

한국에서도 조금씩 사업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게 스마트 홈시스템이다. 이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보다 한발 앞서가는 듯 싶어 주목된다. 그동안 사회 트렌드 변화는 일본이 가장 빠르고, 그 뒤를 한국이 다시 중국이 이어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제 변화는 다시 중국에서 생기고 한국으로 전파되는 것이다. 마치 고대 중국 문화가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파됐던 것처럼 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