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스타벅스의 '주문 후 착석 제도' 시행, 中네티즌 “주문 없이 자리만 차지하면 옳지 않아”

 

최근 중국의 한 누리꾼이 시안의 스타벅스에서 직원이 이제 막 자리를 잡은 한 남성 손님에게 “나가달라”고 말하는 장면을 촬영해 온라인에 게재했다.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안 된다는 건가요?"라고 묻자 직원은 "자리에 앉으시려면 주문하시고 아니면 쇼핑몰에 가서 앉으세요"라고 답한다. 결국 이 손님은 매장을 떠났다.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어떨까? 묘한 게 스타벅스를 비난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반대로 옹호하는 이들도 많았다.

동영상을 게시한 누리꾼은 이 손님이 앉자마자 1분도 채 안되어 쫓겨나갔다며 당시 매장에 사람이 많지 않은데 왜 못 앉게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스타벅스 직원을 비난했다. 

하지만 매장의 입장을 이해하는 댓글도 많았다. “주문을 하지도 않으면서 하루 종일 앉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의 자리를 빼앗는 행위는 근절해야 한다” “주문도 안하는데 무슨 염치로 앉아있는가” 등의 반응이 나왔다. 

이러한 반응을 보면 기본적인 상도덕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소비를 해야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매장에서는 이러한 이익을 포기하고 일부 누리꾼이 말한대로 훗날을 대비해 의자를 많이 준비하고 마음대로 앉으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매장의 태도를 크게 비난할 여지는 없다. 

아무런 주문도 하지 않고 무료로 앉아 있는 행위는 염치없는 행위라는 점을 넘어 영업방해가 될수도 있다.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주문 후 착석’제도를 이미 시행하고 있다. 스타벅스 고객센터는 주문 후 착석제도가 있지만 만약 주문하지 않는다면 정중하게 매장 이용이 어렵다고 말하지만, 강제로 소비자에게 주문하라고 하지는 않는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