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귀금속 거래 플랫폼 순위 Top 10, 1위 진롱중국

 

귀금속은 인간 욕망의 상징이다. 대표적인 게 바로 금이다. 예로부터 우리 인간들은 반짝이는 금을 소유하기를 좋아해 금으로 장신구를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녔다. 그게 가치를 인정 받으면서 가장 간편한 교환가치까지 지니게 됐고, 이른바 '금화'로 인류 경제에 획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금의 가치 교환이 편리해지면서 경제라는 새로운 세상이 열린 것이다. 경제는 교환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경제라는 개념이 자리잡고 나서 인간은 자신이 잘하는 것, 잘 만드는 것만 만들면 그 것을 다른 것과 교환해 소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교환이 이뤄지는 곳이 바로 시장이다. 시장은 그 곳에 참여한 모두가 공통으로 인정하는 교환가치의 척도, 즉 화폐가 있어야 가능해진다. 금은 자연스럽게 인류에게 이런 교환가치의 척도 역할을 했다.

지금도 글로벌 사회에서 한국 등 소수국가를 빼고는 금을 화폐로 대접한다. 화폐는 소유하거나 교환한다고 해서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그래서 글로벌 사회는 금을 '안정자산 1호'로 꼽으며 화폐보다 가치 있는 자산으로 여겨 사모은다.

투자 다원화 시대가 되면서 이런 금과 같은 귀금속 투자 플랫폼들이 주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특히 이 같은 귀금속 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다. 전통적인 중국의 귀금속 사치 성향까지 더해져 글로벌 어느 나라보다 더 적극적이다.

핀테크 등 금융 기술의 발전과 전 세계적인 금값 상승으로 인해 귀금속 거래가 활발해지고 현물 투자자가 대폭 증가하면서 귀금속 거래 플랫폼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포춘 온라인판이 최근 발표한 중국 귀금속 투자 플랫폼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진롱중국 金荣中国

2위 완저우금업 万州金业

3위 링펑귀금속 领峰贵金属

4위 주박황어 铸博皇御

5위 한성금업 汉声金业

6위 바이리귀금속 百丽贵金属

7위 진성귀금속 金盛贵金属

8위 완자오펑금업 万兆丰金

9위 톈위 天誉

10위 아이더금업 艾德金业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