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이 해외 당원들 활용, 체제 선전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목

중국 정부가 해외 중국인이나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국제 사회에 중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실 중국 당국이 해외 체류 중국인을 활용한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진 이야기다. 

하지만 최근들어 중국 당국의 이 같은 활동은 해외 거주 중인 중국 공산당 당원들을 중심으로 더욱 은밀하고 긴밀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서방 외신들이 전하고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즈(FT)는 3일 "중국 당국이 해외 체류 중인 당원들을 체제 선전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해외에 있는 중국인들에게 웨비나 등의 채널을 통해 중국의 이미지를 홍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당원들에게는 과거 중국이 보낸 정치 자료를 학습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실제 FT가 미국 유학 중인 중국 공산당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모두 중국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을 했는데, 이는 중국 당국의 요구와 부합하는 것이다.

보도에 등장한 시드니 주재 중국대사관 외교관 출신으로 현재 호주에 거주 중인 양한(楊漢)은 인터뷰에서 "유학생, 특히 졸업 후 중국으로 돌아가 취직을 준비하는 유학생은 당연히 대사관 및 영사관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며 "특히 현재 중국의 경제 상황으로 볼 때 많은 사람들이 공무원으로 일을 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FT는 중국 당국의 해외 당원에 대한 통제 강화는 최근 몇 년 사이 새롭게 등장한 현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양한은 시드니 주재 중국대사관 외교관으로 근무할 때 중국 공산당의 규정에 유학생 당원에 대한 조직적 요건이 있었다며 "중국공산당 규약에 따라 해외 당원 활동에 정기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유학생의 경우 대사관 교육부에서 주관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당국은 지난 2019년 5월 '중국공산당 당원의 교육 및 관리에 관한 규정'을 발표했다. 규정은 해외 유학 당원 관리에 관한 조항도 담겨져 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유학 및 연구를 위해 해외(영토 밖)에 나가는 당원은 구 대학 또는 직장 단위의 당 조직과 조직 관계를 유지하고 최소 6개월에 한 번 연락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또 해외로 유학, 연구를 나갔던 당원은 귀국 후 규정에 따라 조직생활을 재개하여야 한다.

결국 해외에 나가서도 당원이라면 중앙당의 통제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중국 공산당 중앙 역시 다양한 조직화를 통해 통제의 툴을 만들어 갔다. 지난 2013년 중국 군사 시스템의 국립 국방 기술 대학 당위원회가 유학생들 사이에 해외 당 지부를 설립했다.

최근 미국 조지아 대학을 졸업한 독립 논객 구 이(Gu Yi)는 대학 재학 중 중국을 홍보하기 위해 중국 학생 및 학자 협회가 조직한 많은 활동을 보았다고 증언했다. 그는 "중국 학생회는 문화 교류 활동이나 오락 활동을 조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은 영광스러운 역사, 광대하고 아름다운 땅, 56개 민족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선전활동을 했다"고 말했다.

호주에서는 이 같은 문제가 실제 내정간섭의 수준까지 이뤄져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 호주는 이에 지난 2018년 대외간섭방지법을 통과시키도 했다.

이후 호주에서는 친중 단체들의 공식적인 선전활동이 크게 줄었다. 미국은 법으로 '공산주의 또는 전체주의 정당의 당원, 또는 그러한 정당 또는 그 계열사 또는 계열사와 정치적으로 연결된 사람'에게는 영주권을 주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FT는 이 규정 때문에 많은 중국 공산당원들이 당원임을 숨기고 영주권을 취득했다고 전했다. 미 당국도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중국인들에 대한 영주권 심사를 강화해 지난 2016년 이후 중국의 영주권 신청 승인율은 17% 줄었다.

이 같은 해외 장벽이 높아지면서 중국 당국의 당원들에 대한 통제 역시 더욱 교묘해지고 강화하고 있다는 게 FT의 분석이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