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수학문제로 나온 체온 감소 통계를 보고 분석하라는 질문에 "환자가 호전되고 있다"는 답변은 정답?

초등학교 시험문제다. 종합적 사고를 하라는 대 전제를 두고 다음의 수학문제를 풀어야 한다.

“한 환자의 체온이 37도에서 다음날 36.5도, 그 다음날은 36도로 측정됐다. 이 차트로 알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한 초등학생이 답했다. “환자의 병이 점점 낫고 있다”

 

좀 우스개 소리 같은 질문이다. 이 학생의 답은 맞았을까? 틀렸을까?

중국에서 실제 이 문제와 답이 나와 논란이 됐다.

논란이 된 것은 이 초등학생은 4점 감점을 받았다는 점이다.

 

논란의 포인트는 열린 학습의 진정한 취지에는 감점이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비록 수학 과목이어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의학적 답변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방형 문제에서 수학적 사고를 통한 판단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라면 결과적으로 초등학생이 한 답은 정답이라는 게 논란을 제기한 측의 문제 제기였다.

 

실제 이 논란은 중국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대체적으로 감정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대해 한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21세기교육연구소 소장 슝빙치(西氷奇)는 "이 수학 문제의 답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은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 문제의 핵심은 개방형 명제가 여전히 표준적인 답 사고를 만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표준 답변 사고로 판단하면 초등학생의 답변은 제안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았으므로 4점을 감점해야 한다. 다만, 학생의 사고력과 종합적인 자질을 기르는 관점에서는, 학생들의 관찰과 사고를 장려하고, 답이 합리적이라면 점수를 부여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같은 인터뷰에서 중국교육과학원(Chinese Academy of Education Sciences)의 연구원인 추 자오후이(Chu Zhaohui)는 초등 교육 단계에서 학생들이 학생들의 상상력과 성장을 제한할 수 있는 표준 답변 사고를 형성하지 않도록 표준 답변 모드를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