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00대 기업 수익 총액 약 2경 215조 원에 달해...한국 500대 기업의 100배...1위는 중국전력

'14조 6천억 달러'

한화로 약 2경 215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500대 기업의 영업익 규모다. 한국 500대 기업이 지난 2023년 매출은 총 3,902조6,459억원, 영업이익도 202조2,467억원을 기록했었다. 

중국 500대 기업의 총매출은 한국 500대 기업의 100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중국 500대 기업의 상위권은 모두 대형 국영기업들이 차지했다. 1위는 한국전력 같은 중국전력(국가전망), 2위는 중국석화(시노펙), 3위는 중국석유 가 차지했다.

지난 26일 포춘지 중국어 사이트는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순위를 선정하였다. 1위부터 3위에 오른 기업은 각각 국가전망(스테이트 그리드), 중국석화(시노펙), 중국석유였다. 올해 500대 기업에 오른 중국 기업의 작년 영업 수익은 14조 6천억 달러(약 2경 215조 원)에 달한다.

작년 순위와 비교해 약 3%로 하락하였다. 순이익은 7,064억 달러(약 978조 814억 원)로 작년에 비해 약 1.5% 하락하였다. 올해 순위에 오른 기업의 영업 수익 기준은 37억 4천만 달러(약 5조 1,784억 원)로 작년에 비해 약 9% 상승하였다.

올해 포춘 차이니즈가 발표한 포춘차이나 500대 기업 목록에는 신규 상장 또는 재상장 기업이 총 60개다. 목록에 오른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는 항시그룹(103위)이다.

여행 붐에 힘입어 씨트립(09961.HK)은 2023년 매출이 122% 증가해 62억 달러 이상의 매출로 351위에 올랐다.

신흥에너지 부문 선두기업 2곳의 순위는 지난해에 비해 크게 향상됐다. BYD는 40위로 26계단 상승했다. CATL는 68위로 18계단 상승했다.

신차 제조 강국을 대표하는 Li Auto 역시 지난해 대비 순위가 140계단 상승하며 순위 상승폭이 가장 큰 기업이 됐다. 그 뒤를 에어차이나와 중국동방항공 등 두 항공사가 순위를 이었다. 이 두회사는 각각 100계단 이상 향상시켜 169위와 191위를 차지했다.

수익성 측면에서 보면, 목록에 있는 가장 수익성이 높은 10개 회사 중에는 5개 상업 은행과 중국석유 외에 중국이동통신과 중국해양석유도 있다.

2개의 민간 기업이 상위 10위권 수익 목록에 진입해 눈길을 끌었다. TSMC는 순이익 273억5000만달러로 이익 순위 5위에 올랐다. 2023년 텐센트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9% 감소하겠지만, 여전히 162억 달러 이상의 순이익으로 8위를 기록했다.

중국 500대 기업 중 상위 10개 기업의 총 수익은 약 2,847억 달러로, 목록에 있는 기업 총 수익의 약 40%를 차지했다.

순이익률 측면에서 상위 10위 안에 드는 회사는 Kweichow Moutai(600519.SH), Luzhou Laojiao(000568.SZ), Shanxi Fenjiu(600809.SH) 등 3개 회사입니다. 49% 이익 마진을 초과하면 이익 마진 목록에서 1위를 차지합니다. 사업 다각화에 힘입어 음료 업계 최고 순위는 Sichuan Yibin Wuliangye Group Co., Ltd.(000858.SZ)로 151위입니다.

이 목록에는 총 57개 회사가 수익을 내지 못했습니다. 상위 10위권 패자 중에는 화학회사 1곳, 자동차회사 2곳, 부동산회사 7곳이 있다.

올해 목록에 가장 많은 회사가 포함된 산업은 금속 제품 산업으로, 목록에 55개 회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총 매출은 1조 3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대표적인 인터넷 기업들이 다시 성장세로 돌아섰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JD.com은 지난해보다 3계단 상승한 13위, 알리바바(09988.HK)는 38위를 기록했다. ) 순위는 변함없이 여전히 21위입니다. Meituan(03690.HK)은 35계단 상승하여 99위를 차지했습니다. Pinduoduo의 순위는 지난해보다 56계단이나 상승해 119위를 기록했고, 수익은 84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다음은 포춘지 선정 중국 500대 기업(1위-10위)

 

1위 국가전망(스테이트 그리드)

2위 중국석화(시노펙)

3위 중국석유

4위 중국 건축 집단 유한회사

5위 중국 공상은행

6위 중국 건설은행

7위 홍하이정밀공업주식유한회사

8위 중국 농업은행

9위 중국 철로 공정 집단 유한회사

10위 중국은행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