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중국 입국 여행자 전년동기 대비 70% 증가

중국 찾은 외국인 가운데 한국인이 제일 많아

'70%↑, 40%↑'

중국 여름 휴가 여행의 증가폭이다. 전자가 중국으로의 입국 여행 증가폭, 후자가 중국에서 해외로의 출국 여행 증가폭이다.

중국의 여행수지가 얼마나 좋아졌는지 보여주는 숫자들이다. 

아쉽게도 한국으로의 여행은 기대보다는 크지 않았다는 게 한국 주 관광지들의 분석이다. 양국간 감정의 골이 깊다는 방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인들이 중국 여행은 대폭 늘었다.

4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최대 여행사인 씨트립은 최근 《2024 여름 휴가 여행 시장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여름 국내 여행과 출입국 여행 모두 높은 활기를 유지하며, 관광 시장이 강한 소비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그중에서도 중국으로의 입국 여행 주문이 전년 대비 약 70% 증가했고, 출국 여행 주문은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중국 내륙 여행 열풍이 여름 내내 지속되었으며, 입국 여행객 수는 전년 대비 30배 이상 증가했다.

여름철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중 한국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태국,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국, 호주, 베트남, 영국, 필리핀이 뒤를 이었다.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시안, 청두, 장자제, 리장, 충칭, 쑤저우, 샤먼, 톈진 등은 입국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도시로 꼽혔다. 특히, 군(郡) 단위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입국 여행 주문량이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그중 다리, 이우, 연길, 구채구, 퉁샹은 해외 여행객들이 선호하는 군 단위 여행지로 나타났으며, 한국, 일본, 미얀마, 싱가포르, 태국의 관광객들은 군 단위 여행을 더 선호했다.

이번 여름, 중국 관광객들이 '해외로 떠난' 인기 여행지는 일본, 태국, 싱가포르, 한국, 말레이시아, 미국, 영국,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순이었다. 비자 면제 혜택 정책의 영향으로, 단기 출국 여행의 전통 노선인 ‘신마타이’(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주문량이 전년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으며, 전체 주문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약 10% 하락했다. 올림픽은 '경기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열기를 불러일으켰으며, 올림픽 기간 동안 파리로 향한 중국 관광객의 주문량은 전년 대비 129% 증가했다.

중국 국가철도그룹의 데이터에 따르면, 여름 수송이 시작된 7월 1일부터 8월 27일까지 전국 철도는 누적 8억 3,10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9% 증가한 수치로, 일평균 1,433만 명의 승객이 이동했다.

민항국 데이터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중국 민항은 누적 1억 1,70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으며, 일평균 228만 6,000명이 이용해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베이징, 상하이, 청두, 광저우, 충칭, 항저우, 시안, 선전, 창사, 칭다오 등은 여름철 국내 여행의 10대 인기 도시로 선정되었고, 창지, 솨저우, 징더전, 다퉁, 더양은 성장 속도가 빠른 도시로 꼽혔다. 군 단위 목적지의 여행 주문은 이전 두 달에 비해 45% 증가해 일선 도시의 성장 속도를 웃돌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