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국제무역중재, 올 1~8월 중재 건수 4,131건, 전년 동기보다 28.09% 늘어

올 1~8월 중국국제경제무역중재위원회(이하 '무역중재')의 중재 사건 건수가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늘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 전년동기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 2023년 중국 무역중재는 역대 처음으로 접수 사건 5,000건 돌파, 분쟁 금액 첫 1,500억 위안 초과 기록을 했었다.

 

중국 무역중재는 중국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히 그 역할도 커지고 있다. 국제 경제 규모에 맞게 글로벌 무역 규정도 주도하겠다는 게 중국의 복안이다.

 

27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무역중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재 운영 현안 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8월 동안 무역중재 새로 접수한 사건 수는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증가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약 24조 2,3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18% 늘었다.

외국과 관련된 사건은 46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2% 증가했으며, 사건은 81개국을 포함했다고 한다.

 

왕청제 무역중재 부주임 겸 사무총장은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 동안 무역중재의 연간 중재 사건 접수량, 사건 금액 총액, 그리고 관련 당사국 수는 국제 중재 기관 중 상위권에 들었다."고 말했다.

 

왕 총장은 “무역중재가 2023년에 접수한 사건 수가 처음으로 5,000건을 돌파했고, 분쟁 금액이 사상 처음으로 1,500억 위안(약 28조 5,495억 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그는 “사건의 국제화 특성이 더욱 두드러져, 연내 사건이 88개국과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누적 국가 수는 165개국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무역중재 국제화에는 '일대일로' 사업이 크게 일조를 했다. 해당 사업 대상 국가들이 중국 회사와 분쟁을 중국 무역중재에서 해결하려 한 것이다.

 

중국 당국은 제20차 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통과된 《중앙위원회 결정: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하고 전면적 개혁을 심화하는 데 관한 결정》을 통해 "국제 상사 중재 및 조정 제도를 개선하고, 세계적인 일류 중재 기관과 로펌을 육성할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왕 총장은 70여 년 동안 중국의 대외 중재는 국내 개혁 및 대외 개방의 시대적 흐름과 발맞춰왔으며,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중국 무역중재는 올 1월 1일에 무역중재 제10판 <중재 규칙>을 시행하고 있다. 영어 버전을 기반으로 무역중재가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일본어, 한국어 7개 언어의 새 중재 규칙 버전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왕 총장은 ‘다양한 국가와 법률 체계에서 규칙 적용을 보장하고, 특히 판결 인정 및 집행에 충분한 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