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9월 톱 100 부동산 기업 매출 전년동기 대비 40% 가까이 하락

중국의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올 Top100 부동산 기업 매출 총액은 동기 대비 38.8% 하락했다.

1000억 위안대 매출을 기록한 부동산 기업은 6곳으로 전년보다 8곳이나 줄었다.

중국은 지난 한해 주요 부동산 기업들이 부도를 낼 정도로 침체를 겪었다. 중국은 아파트 건설을 하면서 바로 분양을 하고, 건축자재와 시행사들이 투자 형태로 참여하기 때문에, 주도 건설업체의 부도는 해당 부동산 개발 사업에 끼어든 시행사, 분양을 받은 일반인 등이 같이 자산 부실의 수렁에 빠졌다는 의미여서 중요하다.

간단히 중국 부동산 침체는 한국과 비교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직접적이고 크다는 의미다.

4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기업 데이터 연구소인 중지연구원은 ‘2024년 19월 중국 부동산 기업 판매 실적 순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9월 TOP100 부동산 기업의 판매 총액은 2조 9,699억 4000만 위안(약 559조 5,3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8% 감소하였다. 감소 폭은 지난달보다 0.3%포인트 확대되었다.

총 판매액이 1000억 위안(약 18조)을 넘은 기업은 6곳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곳 줄어들었다. 판매액 기준으로는 폴리디벨롭먼트, 중해부동산, 녹성중국이 각각 2,421억 위안(약 45조 6,116억 원), 1,988억 위안(약 37조 4,539억 원), 1,871억 9천만 위안(약 35조 2,496억 원)으로 상위 3위에 올랐다. 그 외 1천억 위안을 넘은 기업으로는 완커, 화룬지디, 자오상셔커우가 있다.

2024년 19월 동안 판매 총액이 1천억 위안을 넘은 기업은 6곳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곳이 줄어들었으며, 100억 위안(약 1조 8,840억 원)을 넘은 기업은 65곳으로 지난해보다 31곳이 줄어들었다.

TOP100 부동산 기업의 권리 판매 총액은 2조 700억 3천만 위안(약 508조 7,365억 원)이고, 권리 판매 면적은 1억 1,343만 4천 평방미터에 달했다.

2024년 1조1000억 위안(약 207조 2,400억 원)의 기업은 8곳으로, 지난해보다 1곳이 줄어들었고, 평균 매출은 697억 1천만 위안(약 12조 7,942억 원)이었다. 세 번째 그룹의 기업은 44곳으로, 지난해보다 10곳이 줄어들었으며, 평균 매출은 173억 4천만 위안(약 3조 2,668억 원)이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9월 말 중앙 정부의 일련의 조치가 시장 신뢰를 효과적으로 회복시켰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시장 안정화 정책이 기대된다. 수요 측면에서는, 상하이, 광저우, 선전이 중앙 정부의 방침을 적극적으로 이행한 후, 베이징도 구매 제한 완화와 주택담보대출 비율 인하 등 정책 기대감이 더욱 높아졌다.

또 각 지역에서는 주택 구매 보조금을 확대하거나 거래세 인하,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등을 통해 주민들의 주택 구매 부담을 경감시킬 가능성이 있다. 공급 측면에서는 국유기업의 토지 매입 및 기존 토지의 활성화 등 관련 정책이 계속해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들은 4분기 시장의 점진적인 개선을 전망하면서도 주민 소득과 고용 등 중장기적 요소 변화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시장이 여전히 저점을 형성하는 국면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기업들은 마케팅 전략에 집중하고, 정책 완화의 기회를 잡아 지속적으로 마케팅 도구를 혁신함으로써 프로젝트의 매각을 촉진해야 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