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모든 걸 갖췄다는 한자, 그래서 노자가 싫어한 한자 ... 현(賢)

다 갖추면 누가 봐도 좋다.

그게 현(賢)이다.

집안도 좋고,

타고난 재능도 좋고,

말 그대로

금수저가 바로

‘현’(賢)이다.

 

역사 이래

모두가

그래서 ‘현’하기를 좋아한다.

 

갑골자 현은

글자가 만들어지는

그 순간부터

그렇게

좋은 뜻이었다.

 

노예, 손재주, 재물

모두를 갖춘 게

현이다.

갑골자 현에는

아직 재물은 없었다.

 

신하 신(臣)에

또 우(又)만 있었다.

여기서 우는

‘장악’, ‘관장’(管掌)하다는

뜻으로 풀리고 있다.

 

그래서

신하를 관장하는 인사 업무

혹은

손의 뜻을 강조해

‘재능’이란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신하와 재능을 갖춘

뜻을 ‘현’으로 보기도 한다.

 

훗날 금문에 와서

재물을 뜻하는

조개 패(貝)가 붙었다.

 

관리(官吏)를 뜻하는

현에 재물이

붙은 것은 참 묘하다.

 

돌이켜보면,

고래(古來)로 동서양에서

나랏일을 하는

관리는 부자였다.

 

왜 그럴까?

똑똑한 건 인정하는 데,

그래도 왜

관리가 부자인지는

역사적 의문이다.

 

고래로 동서양

어느 시대이든

관리의 녹봉이

부자가 될 정도로

많은 적이 드물기 때문이다.

 

다시 그래서

참 묘한 게

현이란 글자다.

 

모두가 현과 같은 관리를

싫어하지만,

모두가 현과 같은 상태를

좋아만 한다.

 

유일하게 현을 싫어했던 이가 있다.

바로 노자다.

 

노자는 현(賢)을 싫어했다.

‘지혜롭다’는

현명(賢明)마저 싫어했다.

 

현명은 말 그대로

가진 게 많은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다.

 

노자의 심기를 건드린 게 바로

이 점이다.

 

가진 것을 드러내는 게

과시하는 걸

싫어하고 가볍게 봤다.

 

드러낸다는 것,

과시한다는 건

다른 것을

가볍게 본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또 드러낸다는 것,

과시한다는 건

감출만큼 중요한 게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정말 중요하고

정말 소중한 것은

자랑하고 싶어도

자랑하지 못하고

드러내고 싶어도

드러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노자가 좋아했던

이런 글자가 있다.

도덕경에 나오는 ‘현명’(賢明)에 상대어(相對語)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