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매체가 평가한 글로벌 금융도시 지수에서 글로벌 10위 내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3도시가 포함됐다.
상하이는 심지어 뉴욕과 런던에 이어 도시 금융지수로 3위를 차지했다.
물론 중국 자체 평가여서 글로벌 전문가들의 신임도는 낮다. 상하이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위치에 오르기는 했지만, 성급한 중국 당국이 성취를 분식하고 있다는 질타마저 나온다.
다만 주목할 것은 글로벌 금융시장 재편은 중국 당국이 몽매이며 추구하는 것이다. 스스로 분칠할 정도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선도 지위를 갈구하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16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신화이 개발한 지수를 통해 글로벌 주요금융도시를 평가한 결과, 미국의 뉴욕이 1위, 영국의 런던이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상하이가 올랐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글로벌 금융도시 10위 안에 중국의 베이징이 7위, 선전이 8위를 차지해 중국 내륙도시 3곳이 글로벌 금융도시 10강에 늘었다. 상하이에 이어 4위를 차지한 홍콩까지 합하면 중국 도시 4곳이 글로벌 10위에 랭크됐다.
일본의 도쿄가 6위, 9위가 프랑스 파리, 독일의 프랑크푸르트가 10위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5위는 싱가포르였다.
중국 매체들은 선전은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가 가장 강하고 관련 기업 밀집도 가장 높다는 점이높이 평가됐다.
무엇보다 다단계 자본 시장 시스템을 개선하여 심천 증권 거래소 주식 거래량은 세계 3위, 아시아 1위를 차지했으며 새로운 "국가 9개 조항"이 발표된 후 최초의 핵심 광역 지수인 CSI A500 지수가 출시됐다.
선전 ETF 수는 420개에 달하여 규모가 약 9,500억 위안으로 두 배로 증가했다. 22개의 새로운 국내외 상장사가 추가되어 전국 1위를 차지했으며 약 200억 위안을 조달했다.
중국은 상장기업의 인수합병 지원 제안에 앞장섰고, 34개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거래액은 102억5400만 위안으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2024년 국제 금융 중심 발전 지수 Top 10
1위 뉴욕
2위 런던
3위 상하이
4위 홍콩
5위 싱가포르
6위 도쿄
7위 베이징
8위 선전
9위 파리
10위 프랑크푸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