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설 연휴 기간 소비 전년보다 10% 이상 급증

 

‘10.8%’

중국의 지난 설 연휴 기간 동안 소비액의 전년동기 증가폭이다. 중국 당국 조사결과다. 중국은 지난해 연말부터 사회 소비 증진을 위해 다양한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세무총국은 부가가치세 계산서 데이터를 활용해 춘절 연휴 동안 소비 관련 업종의 매출 수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춘절 연휴 기간 전국 소비 관련 업종의 일평균 매출 수입이 전년 대비 10.8% 증가했으며, 그중 상품 소비와 서비스 소비는 각각 9.9%와 12.3% 증가했다. 소비재 ‘구형 교체 신형’ 정책의 지원 아래 가전·가구류 상품 소비 증가율이 높았으며, 관광·문화·예술·체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활발했고, 곡물·식품 소비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춘절 연휴 동안 ‘구형 교체 신형’ 정책의 추가 지원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새 제품 구매’ 열기가 높아졌다고 당국은 평가했다.

실제 당국 조사결과, 가전제품 및 음향·영상 기기의 매출 수입은 전년 대비 166.4% 증가했으며, 이 중 TV 등 가정용 시청각 기기 매출은 226.8% 증가했다.

휴대폰과 스마트워치 등 디지털 제품이 신제품 구매 보조금 지원 대상에 포함되면서 소비자들이 혜택을 누렸고, 이에 따라 통신 기기 매출 수입이 전년 대비 181.9% 증가했다. 또한 건축·인테리어 자재 등 주거 인테리어 관련 상품 판매도 빠르게 증가해 전년 대비 15.5% 성장했다.

춘절 연휴 동안 관광 소비 시장이 활기를 띠며, 관광 관련 서비스 매출 수입이 전년 대비 37.5% 증가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등재 이후 처음 맞이한 춘절로, 사원 방문, 등불 축제, 전지 공예, 옻칠 부채 제작 등 전통 명절 문화 활동도 주목받았다.

이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및 레저 활동이 관광 소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휴양 관광, 공원·경관지 서비스, 놀이공원 서비스 매출 수입이 각각 81.9%, 59.5%, 14.1% 증가했다. 한편, 지역 특색을 살린 민박업체들이 개성 있는 숙박 경험을 제공하며 인기를 끌었고, 이에 따라 민박 서비스 매출 수입도 전년 대비 12.6% 증가했다.

춘절 연휴 동안 각 지역에서는 빙설 스포츠, 공연예술, 전통 민속 등을 주제로 다양한 문화 행사를 열어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소비 수요를 충족시켰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서비스 매출 수입이 전년 대비 66.3% 증가했으며, 특히 문예 창작 및 공연 서비스와 공연장 매출 수입이 각각 83.9%, 65.9% 증가했다. 또한 춘절 연휴 동안 소비자들은 스포츠·오락 및 건강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실내 경기장 및 체육관 서비스 매출 수입이 각각 135%, 224.1% 증가했다.

춘절 연휴 동안 각 지역의 식품 시장은 원활한 공급을 유지했으며, 곡물·식품 매출 수입이 전년 대비 18.9% 증가했다. 그중 빵·과자류, 육류·가금류·달걀·유제품, 곡물·식용유 소매 매출이 각각 29.9%, 16.9%, 14.7% 늘었다.

또한 백화점과 편의점 매출 수입도 각각 5.2%, 16.1%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