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패러다임 변화 1] 변화의 물결이 밀려온다.

 

1. 바야흐로 변화시대다.

 

바야흐로 ‘변화의 시기’다. 이미 글로벌 사회가 2개의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 가자 전쟁에 몸살을 앓았다.

치열한 전쟁은 구식 무기들의 소비장이요, 첨단 무기의 시험장이었다. 새로운 전략이 시험됐고, 전장의 수많은 이들이 전화에 몸과 영혼을 태워야 했다.

하지만 전쟁은 해를 넘기면서 진행됐는데,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가 글로벌 사회의 ‘벽촌’이라는 점이 컸다. 전쟁의 피해를 뉴스로 전해 듣지 않으면 많은 이들이 그 피해를 실감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두 전쟁이 주목 받은 것은 전쟁의 잔혹함 탓이 아니라, 엉뚱한 글로벌 사회의 두 경제체의 극적인 대립 탓이었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경제체와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조금은 느슨한 결속이지만 이들 두 나라가 중심이 된 중앙아시아, 남미 경제를 중심으로 하는 브릭스 경제체다.

가자 지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경제체와 이슬람 문화를 공유한 중동 경제체의 대립이었다.

 

글로벌 사회는 두 전쟁 전까지 미국과 서구가 주도한 자유무역의 과실을 따먹으며 성장해왔다. 그 결과 글로벌 사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국제 사회는 물론, 개별 국가들 사이에서 고착화했고, 또 빠른 경제 팽창 속에 인플레이션이 가중됐다. 모두가 알 듯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서민을 먹이로, 재물로 삼는다.

한 나라의 가난한 이들은 더욱 궁핍해지고, 글로벌 사회 궁핍한 나라는 더욱 빈궁해졌다. 전쟁은 이 같은 부조리의 산물이다.

 

러시아는 많은 자원을 지니고도 궁핍함을 벗지 못하는 나라 중 하나였다. 그러면서 과거 미국과 함께 글로벌 사회를 양분했던 사회진형의 거두라는 영예의 굴레를 벗어던지지 못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적 지위 하락 속에 스스로 심리적 궁지에 몰린 러시아가 선택한 패착이다. 러시아나 우크라이나나 어느 나라도 이제는 이겨도 이겼다고 할 수 없는 전쟁을 현재 3년째 끌고 가고 있다.

 

변화는 이제 이 참혹하고 무도한 전쟁을 끝내는 데서 새롭게 시작되고 있다. 그 변화는 어떤 것일까? 아직은 모른다. 누가 봐도 ‘전쟁 중’보다는 긍정적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글로벌 사회 차원에서 ‘전후 변화’는 부정적일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많은 이들이 이 변화가 2025년 한 해의 모습이며, 이 후 글로벌 시대를 결정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또 분명한 것은 이 변화는 ‘전쟁 전의 시대’로 회귀는 아닐 것이라는 점이다.

 

전후 글로벌 사회의 모습을 현재 확정해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전쟁의 종결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짐작하기 쉽다. 그리고 이 전쟁의 마무리 시점에서 두드러지는 가치관, 새로운 관례들이 향후 글로벌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주요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점은 누구라도 확신할 수 있다.

우선 변화의 주도권은 역시 미국이 가지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결하는 데 분명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지랄 맞은 전쟁을 끝내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표현 그대로 너무도 쉽게 전쟁을 끝내기로 이미 결정하고 행동에 들어간 것이다. 하지만 말 그대로 ‘이 지랄 맞는 전쟁’이 그렇게 쉽게 끝날 수 있을까? 바이든 행정부는 왜 그토록 ‘지랄 맞은 전쟁’을 질질 끌고 가야만 했던가, 오판은 누가 하고 있는 것일까?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