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본래 준만큼 받는 것이다.

 

본래 준만큼 받는 게다. 투자한 만큼 버는 게다. 적게 주고 많이 받으려 하면 그게 도적놈 심보다. 주지도 않고 받으려 하면 그 건 뺏는 것이다. 강도 심보다.

 

옛날 동양의 한 마을에 자린고비 부자가 있었다. 하루는 천지인 삼신(三神)에게 복을 비는 제를 지내고자 했다.

그런데 아무래도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음식이 아까웠다. 소도 잡고, 돼지도 잡고 닭도 잡는데, 정작 신이 먹는지는 불투명했고, 집안의 종복들이나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다 먹기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를 의뢰하는 도사에게 슬쩍 물었다.

“음... 이게 꼭 온갖 음식을 다해야만 하는가? 그러지 않고 제를 지낼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눈치 빠른 도사는 자린고비 부자가 무슨 심보로 그렇게 말하는지 금방 알아챘다. 그리고 말을 했다.

“아이고 그럼요. 물로만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도사는 제를 지내는 보수만 받으면 된다는 식으로 말했다. 말을 들은 자린고비 부자의 얼굴에 희색이 돌았다.

“아 그럼 바로 지내도록 하지.”

그리고 제삿날이 됐다. 도사 제상 가득 물을 받아놓고 기원을 드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사상의 음식을 신께 바치는 의식을 시작했다.

도사가 말했다.

“아 삼신이시여, 거기 가만히 서 계시길 기원합니다.”

곁에서 이 말을 들은 자린고비가 이상하게 여겨 물었다. “아니 도사 양반, 신들에게 제자리에 있으라고 하면 어떻게 음식을 드시는가? 그리고 서 계시다 돌아가시면 과연 우리를 위해서 복을 내리시겠는가?”

도사가 냉랭하게 말했다.

“아니 그럼 물을 앉아서 마시란 말이요. 서서 마셔야 편하지.”

자린고비를 아무런 말을 못하고 서 있었다. 뒤에 서 있던 종복들은 키득키득 웃고 있었다.

 

세상이 어지러울 땐 ‘의리’가 최고다. 이 때는 ‘강도 심보’나 ‘도적놈 심보’로 경영을 해야 득을 본다. 세상이 안정이 되면 ‘법’이 성하게 된다. 법이 성한 사회에서는 ‘강도 심보’는 망하는 지름길이다.

많은 이들이 ‘RoI’(투자 회수)를 외친다. 하지만 모두가 R(대가)이 선행되면 I(투자)를 하겠다고 한다. 손실 없는 투자만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건 투자가 아니다. 예금이다. 투자를 하는 것은 항상 손실을 감안해야 하는 것이다. 손실에 대한 감안이 없으면 투자가 아니요, 투자가 없으면 대가가 없는 게 당연한 이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