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삶의 시작, 고통의 삶과 죽음 모두가 졸이다.

우리는 모두 졸(卒), 시작과 고통, 예정된 죽음이다.

한자 (卒)은 묘하다.

삶과 죽음. 그 두 개의 뜻이 함께 있다. 먼저 삶의 의미다. 졸은 사회 한 계층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가장 평범한 사람들, 삶이 고달픈 이들이다.

 

선배 사(士)의 아래가 바로 졸(卒)이다. 군에서 사병을 의미했고, 옛날 농사를 지며 군역을 담당했던 계층을 의미했다.

오늘로 치면 평민이다. 우리 모두가 평민인 오늘날, 우리는 모두가 졸(卒)이다.

 

그 옛날 한자 졸은 그런 이들을 가리켰다.

하지만 그 보다 더 옛날 졸이 무엇을 의미했는지는 오늘날 누구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졸은 갑골자에 등장하는 오래된 한자다.

하지만 자형은 분명히 전해지는 데 그 의미를 짐작하기는 어렵다. 모양이 묘하다.

다음은 죽음이다. 졸은 죽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한 글자가 삶과 죽음의 두 가지 의미를 가진 채 쓰인다. 역시 묘한 한자다.

 

한자의 자형에 그 비밀이 있다 싶다. 앞서 이야기 했듯 갑골 문자에 등장할 정도로 오래된 글자가 바로 졸이다.

졸의 모양은 보듯 그 뜻을 짐작하기 어렵다. 갑골자를 연구한 많은 이들이 졸의 의미를 해석하려 매달렸다.

 

두 가지 해석이 유력하다.

우선 농사 행위의 하나로 보는 해석이다. 땅을 뒤집는 기구를 본 딴 상형자라는 설이다. 땅을 뒤집어 농사를 짓는 것 모양이라는 해석이다.

앞에서 언급한 농사를 짓는 계층을 의미한다는 것과 연관된다. 졸은 고대 중국에서 이들 농민으로 꾸며진 군사 조직을 의미하기도 했다.

 

또 하나의 해석은 옷매무세라는 설이다. 옷을 짜입는 모습이라는 주장이다. 옛 중국에서는 옷을 입을 수 있는 사람이 제한됐다.

천을 짜는 일이 쉽지 않았던 때문이다. 천이 귀하니, 천으로 짜는 옷을 입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일정 수준으로 사는 평민이어야 가능했다.

상형자 졸(卒)은 그래서 만들다는 의미의 작(作)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졸은 시작의 작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한 것이다.

옷을 입는 또 다른 경우는 죽음 뒤였다. 고대 중국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옷을 입히고 꿰맸다. 죽어서야 비로소 옷을 입었다.

귀족은 죽음 뒤에 옷을 입고, 그 가슴에 옥을 매달았다.

 

졸은 결국 시작이요, 삶이요, 죽음이라는 3가지 의미가 다 있는 것이다. 묘한 글자다. 하지만 그래서 지극히 평범한 글자다.

세상을 사는 우리 모두가 겪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태어나면서 그 고통이 시작되고 힘들게 사는 것이고 그러다 죽는 것이다.

졸은 우리의 글자이고, 사람의 글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