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55년만에 열리는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 중국관도 인기

 

“니 하오!”

반백년만에 열리는 일본의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이하 ‘오사카 엑스포’)에서 중국관이 글로벌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엑스포 현장을 찾는 관람객은 물론, 글로벌 시장 동향에 밝은 경제 매체들의 관심도 쏟아지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글로벌 관세 무역전’의 포문을 연 뒤 일본의 뜻깊은 행사에 중국이 참여한 때문이다.

 

중일 양국간 경제밀착이 이뤄질 지가 최대 관심사다. 앞서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도 미국은 물론 유럽의 관심까지 받았었다.

 

15일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3일 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이하 ‘오사카 엑스포’)가 공식 개막한 가운데, 중국관도 같이 정식 개관했다.

엑스포 첫날 관람객 수는 14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오사카 종합 엑스포가 열리는 것은 무려 55년 만의 일이다.

이번 엑스포에는 전 세계 158개국과 지역, 7개 국제기구가 참여해 ‘생명’과 ‘순환’을 주제로 전시를 펼친다.

각국 전시관은 멀티미디어 기술 등을 활용해 미래 사회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고유 문화를 선보인다.

 

관심을 끄는 중국관은 약 3509㎡ 규모다. 외국이 자체 건립한 전시관 중 최대 부지 면적을 자랑한다.

‘인간과 자연의 생명공동체 공동 구축 - 녹색 발전의 미래 사회’를 주제로, 창어(嫦娥) 5호와 6호가 수집한 달 앞면과 뒷면의 토양 샘플을 세계 최초로 비교 전시한다.

이 외에도 ‘자오룽호(蛟龍號)’ 심해 잠수 체험 모듈과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이 소개된다.

첨단 기술 분야에서 앞서가는 중국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엑스포는 오사카시 서부의 인공섬 유메시마에 위치한 155헥타르 규모의 단지에서 열리며, 오는 10월 13일까지 계속된다. 조직위는 전시 기간 동안 약 2800만 명의 관람객이 찾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