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덕(德)은 칭송 받는 나다. 1

도(道)와 항상 같이 가는 한자가 있다. 바로 덕(德)이다. 흔히 도와 덕을 합쳐 도덕이라고 한다. 도가 주변의 박수를 받으며 가는 승리의 길을 글자로 만든 것이라면 덕은 무엇일까? 

 


고래로 우리 동양에서 도(道) 만큼 중요한 게 덕(德)이다. 고관대작은 물론, 시정잡배도 덕을 쌓는 일의 중요하게 여겼다. 공자는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 덕이 있으면 반드시 이웃이 있다)라 덕자(德者)를 칭송했다. 누구든 "덕이 없다"는 평은 가장 치명적인 비난이었다. 
어찌 보면 도 보다 더 일반적인 게 덕이다. 동양 유구한 역사 속에 덕은 종교, 사상, 신분 등의 차이를 넘어 중요시됐다. 반면 그래서 
도보다도 어려운 게 덕이다. 덕이 무엇인가? 우리 네이버 사전에는 '크다', '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줘 혜택을 받게 하다' 등의 뜻으로 나온다. 지난 2013년 개정된 신화 한어사전 제6판에서는 1) 도덕, 품행, 정치품덕 2)심의(心意) 3)은혜 4)이름 성 등이라 설명한다. 참 모호하다. 그럼 덕이 그냥 남을 돕는 일인가? 
사실 여기까지만 해도 쉽지 않은데, 소위 맹자의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四德)에 들어가면 갈수록 이해가 어려운 개념이 되고 만다. "말이 많으면 오해가 많다" 다시 노자의 말을 떠올리며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사실 과거 한때 덕과 득(得)이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했다. 순자의 글에서 덕과 득이 같은 뜻으로 쓰인 용례가 나온다. 
그런데 이 덕 역시 한자의 세계 속에서는 너무나 쉽고 명쾌하다. 갑골자의 덕은 큰 거리에서 눈을 빛내며 걷는 모습이다. 행(行)자 사이에 빛나는 눈이 그려져 있는 게 갑골문자의 덕 자의 모습이다. 일단 최소한 덕은 다른 사람들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명확해졌다.
그럼 대로의 큰 사거리를 걷는 빛나는 눈은 무슨 의미일까? 눈은 사람의 마음을 보는 창이다. 한자를 공부하다 보면 눈과 관련된 글자가 대단히 많아 흥미를 끈다. 백성 민(民)이 눈을 다치게 해 시력을 뺏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고, 신하 신(臣)은 그냥 봐도 공손한 눈길로 위를 쳐다보는 모습이다. 

 

덕 자에 들어있는 눈은 눈동자 위로 뭔가가 빛나는 모양, 혹은 장군의 투구 위에 장식된 수술 모양이 있다. 그냥 봐도 대로를 걷는 눈이 대단히 자랑스러워 보인다. 금문에서 덕 자의 눈 아래 마음 심(心) 자가 들어간다. 빛나는 눈으로 마음을 행한 것이다. 반대로 빛나는 눈으로 마음을 행하는 것을 모두가 지켜보고 인정한 것이다. 즉 덕은 남에게 칭찬받을 것을 실천하는 데만 그친 게 아니라 공중(公衆)에게 그것을 인정받은 것이다. 그래서 당당히 사거리를 걸으며 박수를 받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