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2.12 타오바오 한국 화장품 인기 순위!

 

한 해 가장 많은 물건이 팔리는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는 바로 11월 11일, “쌍십일(双十一)”입니다. 
그리고 오늘 12월 12 역시 쌍십이(十二)”라 불리는 중국의 쇼핑 대목입니다. 
국내에서는 11월 11일 만큼 유명하진 않지만 12월 12일에도 최소 50% 이상 할인을 지원하며 대규모 세일이 진행됩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일 행사라고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국 상품은 무엇일까요?
바로 화장품입니다. 
이러한 인기를 반영하여 타오바오는 작년 10월 17~19을 ‘한국 화장품 직구의 날’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그만큼 인기있다는 것이겠죠?
그럼 타오바오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국 화장품은 무엇일까요? 
함께 살펴보시죠! 

 

 

5위는 '닥터지'사의 '닥터지 악티펌 리얼 리프팅 2종 세트'입니다.  

 

12월 12일 쇼핑절을 맞아서 세일을 진행 중이었는데요. 
한화로 3만 원이 안되는 가격에 토너와 에멀션으로 구성된 2종 세트를 판매 중이었습니다. 
배송비가 포함되지 않은 가격이지만 한국에서는 배송비를 포함해서 68,760원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네요!

4위는 제이준코스메틱 '블루밍 로즈 워터 2종 세트' 및 '수딩 페이셜 모이스처 2종 세트'입니다. 
한국에서는 마스크팩 광고로 유명한 제이준코스메틱입니다. 
하지만 중국에서도 입소문을 타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데요. 
역시 12월 12일을 맞이하여 2종 세트 및 샘플의 판매가가 한화 약 3만 6천 원 정도입니다. 

3위는 '카버코리아 A.H.C 프리미엄 하이드라 B5 로션 앤 토너 세트'입니다. 
타오바오와 연계되는 사이트인 톈마오(天猫)에서 179위안 (한화 약 29400원)에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12월 12일 활동 시작 전에 이미 1500건 가까운 판매량을 기록하였는데요. 
오늘 12월 12일에 얼마나 더 판매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2위는 'LG생활건강'의 '숨 37도 워터풀 3종 세트'입니다. 

상품의 메인은 스킨과 로션 및 크림이지만 그 외에도 함께 4종류의 화장품이 구성으로 들어있습니다. 
또한 이 제품은 현재 한국 '숨 37도'에서 직접 운영하며 사람들에게 정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미 오랜 세월 중국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인 브랜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더 신뢰하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1위는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자음 2종 세트'입니다. 
'설화수' 브랜드의 자음수 및 자음유액 세트는 한국에서도 인기가 있는 화장품입니다. 
중국에서도 확실한 효과를 보는 사람들이 많다는군요. 
이미 구매 평가만 8500개가 넘어서 사람들이 확신을 가지고 구매하는 제품입니다. 

오늘은 최근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화장품 1위부터 5위까지 살펴봤습니다.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확실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는 것과 정품임을 어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함께 살펴본 타오바오 판매자들도 정품을 강조하는 내용을 상품페이지에 계속 소개할 뿐 아니라 심지어는 화장품 구매를 직접 한다는 영수증이나 사무실 사진까지 상품페이지에 함께 올려놓는데요. 
이렇게 지속적으로 정품을 강조하고 고객들의 구매 평가가 쌓이다 보면 처음 접하는 고객일지라도 상품을 구매하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중요한 점 중 하나로 판매자의 신용도(卖家信用)가 있습니다. 
하트로 시작해서 보석 단계로 넘어가고 이후 파란색 왕관 마지막에는 황금색 왕관이 되는데요. 
신용도는 판매자가 모조품을 팔지 않는다는 보증이기 때문에 보석 4단계부터는 사람들이 안심하고 구매한다는군요. 

앞서도 언급했지만 오늘인 12월 12일부터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일이 이루어지는데요. 
이번 쇼핑절에도 판매자분들이 건투하셨으면 좋겠네요!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