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타오바오 인기상품] 톈마오에서 지난 1달간 가장 많이 팔린 한국 상품은?

 

5위부터 알아보시죠! 

5위는 '카버코리아 A.H.C 프리미엄 하이드라 B5 수딩 폼 180ml'입니다. 

 

 

109위안 (한화 약 17890원) 정도의 저렴한 가격인 해당 제품은 
지난 1달간 1만 건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할 만큼 인기인 제품입니다.
상품의 상세 페이지에서는 중국 고객들을 위해서 중국어로 된 동영상을 제작하는 등 성의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렇게 중국인 소비자들을 신경 쓰는 세심함이 눈에 띄는 것 같습니다. 

4위는 '베이지색 햅번 롱 코트'입니다. 

 

 

중국에서는 한국에서 팔리는 스타일의 옷이 엄청난 유행입니다. 
검색창에 한국(韩国)이라고 검색하면 연관검색으로 한국 동대문 (韩国东大门), 한국 동대문 구매 대행(韩国东大门代购), 한국 여성 의류 구매 대행 (韩国代购女装) 등의 검색어가 자동으로 뜰 정도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제품입니다. 
롱 코트임에도 248위안 (한화 약 40710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과 
한국 스타일의 패션이라는 점이 맞물려서 1만 3000건이나 팔렸네요. 

3위는 '이니스프리 그린 티 밸런싱 2종 세트'입니다. 

 

 

해당 제품은 한국에서도 인기리에 팔리고 있는데요. 
230위안 (한화 약 37750원) 정도의 저렴한 가격임에 더해서 뛰어난 보습 효과에 만족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지난달에 1만 3000건 정도를 판매했지만 구매 후기 건수는 1위부터 5위 중 가장 많은 22만 건을 기록했는데요. 
상품이 꾸준히 인기 있었다는 반증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후기에서 다수의 고객들이 상품의 미백보습효과 
즉 화장품의 '하이드레이팅'(保湿滋润) 효과가 뛰어나다고 후기를 남긴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2위는 '카버코리아 A.H.C 프리미엄 하이드라 B5 2종 세트'입니다. 

 

 

해당 세트는 로션과 토너 구성으로 되어있는데요. 
해당 매장은 '카버코리아 A.H.C'에서 정식으로 판매권을 받았다는 정품 보증서를 판매 페이지에 게시함으로 
사람들이 '짝퉁'에 대한 염려 없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한 게 인상 깊었습니다. 
지난 1달간 판매량이 가장 많은 한국 상품 1위는 '한국 겨울 롱패딩'입니다. 

 

 

한국에서 롱패딩이 유행을 타고 있는데요. 패션에 관심 있는 중국 소비자들도 유행을 쫓아가는 모습입니다. 
해당 상품은 지난 1달간 3만 6000건이 팔렸는데요. 
롱패딩임에도 불구하고 75 위안 (한화 약 1231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구매하는 모습입니다. 

너무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혹시 품질에 이상이 있는 건 아닐까 싶다면 구매 후기를 참조하면 되겠죠!
많은 사람들이 제품의 품질에 대단히 만족한다고 평을 남겼습니다. 
이 정도의 가격이라면 한국에서 롱패딩을 사지 말고 중국에서 사는 게 낫지 않을까요? 

오늘은 지난 1달간 중국 톈마오에서 많이 팔린 상품 1위부터 5위까지의 상품을 살펴보았습니다. 

 

 

톈마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은 의류와 화장품 종류였는데요. 
두 종류 외의 다른 상품은 인기순위에서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적게 팔리는 모습이었습니다. 

한국만의 특산품이라고 할 수 있는 다른 상품들도 중국 시장 공략에 성공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