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新4대'발명'?"... 발명은 아니지만 '상용화'시켰다.





2017년 5월 이후 중국 다수 언론 보도에서 중국의 '新 4대 발명(新四大发明)'이라는 단어가 끊이지 않고있다. 고속철도, 모바일 결제, 전자상거래, 공용자전거를 포함한 말이다. 최근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모바일 업계 최강자라 할 수 있는 텐센트(腾讯) 회장 마화텅이 이를 다시 언급함에 따라 이에 대해 BBC가 분석 기사를 보도해 화제가 되었다. 


Rumor : 고속철도, 모바일 결제, 전자상거래, 공용자전거를 중국에서 발명했다. 
Fact : 중국은 그 어떤 것도 발명하지 않았다. 다만 보급, 상용화 되는데 앞장선 것 뿐.


新 4대 '발명' 어디서부터 출발한 것인가?

'新 4대 발명(新四大发明)'이라는 말은 베이징외국어대학이 2017년 5월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이 조사는 20개 국가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으로, "중국에서 자국으로 귀국할 때 가장 가져가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케 했다. 설문대상자의 응답 중 가장 많은 표를 획득한 것이 바로 고속철도(高铁), 모바일 결제(支付宝), 전자 상거래(电子商务), 공용자전거(共享单车) 였다. 

왜 '新 4대 발명(新四大发明)'이라는 말이 계속해서 언급되는가?

우선 '4대 발명'이라는 단어는 다들 알다시피 중국 고대 4대 발명(종이, 화약, 인쇄, 나침반)에서 기인한 것이다. 
 중국은 계속적으로 기술 진보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해왔고, 2020년에는 '창조형국가(创新型国家)'가 되겠다고 선포한 상태다. 그간 서구권 국가들이 기술을 발전을 통해 패권을 장악하는 것을 보며 중국 역시 핵심 기술 보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했다. 기술 보유를 통해서만이 독립적이고 당당하게 비즈니스 파트너와 손잡고 경쟁상대의 존중을 받을 수 있다는 것. 
 세계 경제 포럼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이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비용은 미국을 뛰어 넘었고, 2015년 전세계 연구개발비 약 2조달러 중 중국이 21%를 차지했다. 기술 진흥에 국가가 나서 힘쓰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이다. 

고속철도(高铁)

 어떤 것이 '고속철도'인지 표준화된 정의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신설 철로에서는 시속 250km이상, 구 철로에서는 시속 500km/h이상의 속도로 운행되는 철도를 의미한다. 
 국제철도연합회에 따르면 최초의 고속열차운행은 1964년 일본의 신칸센 열차이다. 1955년에 프랑스에서 한 열차가 시속 331km로 운행된 기록이 있으나 정규적으로 운행된 철도서비스는 도쿄와 오사카를 오간 일본 신칸센이 최초다. 
 중국에 고속철이 개통된 것은 2008년이다. 베이징올림픽 직전 북경과 톈진을 오가는 고속철도가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하지만 현재 중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고속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그 길이는 25000km에 이른다. 중국은 2030년에는 이를 두배로 증설할 것이라 밝혔다. 

모바일 결제(支付宝)

 최초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설비된 것은 핀란드다. 핀란드 현지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1997년 핀란드의 한 통신사에서 지불용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어 결제하는 서비스를 음료자판기에 도입했다. 
 또 어떤 이는 진정으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2014년 애플페이의 등장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현재 중국인이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하는 금액은 전세계 최고다. 중국공업정보화부의 통게에 따르면 2017년 10개월동안 중국의 모바일 결제 금액은 12.7조에 달한다.

전자 상거래(电子商务)

 최초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영국인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1979년 영국인 마이클 알드리치(Michael Aldrich)는 전화선을 이용해 통신하도록 개조된 TV로 최초의 온라인 쇼핑을 가능하게 했다. 개조된 TV는 비디오텍스(Videotex)라는 시스템에 기초를 두고 있었는데 비디오텍스는 PC의 전신으로 볼 수 있다. 컴퓨터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TV에 약간의 통신 기능을 더한 것으로, PC보다는 간단하게 뉴스나 방송을 선택해볼 수 있는 케이블 TV에 가깝다. 비디오텍스는 1970년대부터 1980년 중반까지 주로 온라인 홈뱅킹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1981년에는 비디오텍스를 이용하여 씨티뱅크(Citibank), 체이스 맨하탄(ChaseManhattan), 케미컬(Chemical), 메뉴팩쳐러스 하노버(Manufacturers Hanover)가 뉴욕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지금같은 형태로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90년대 이후다. 1995년 아마존과 이베이가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전자상거래가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에는 약 7억명의 인터넷 사용자가 있으며 이는 전세계 최대 규모이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은 알리바바를 런칭한지 15년만에 아시아 최고 부호가 되었다. 중국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자 상거래 시장임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공용자전거(共享单车)

 마지막으로 '공용자전거'의 개념은 60년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반주류문화운동에서 시작된 것이다. 반주류문화운동에 참여한 무정부주의자들이 흰색 자전거를 자물쇠 없이 공공장소에 두어 무료로 사용하게 한 것이다. 절도 행위를 부추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네덜란드 경찰은 이러한 자전거를 모두 압수했다. 최초로 대규모 공용자전거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90년대 코펜하겐이다. 
 하지만 '매여있지 않은' 공용자전거 영역에 있어서는 모바이크(摩拜单车), Ofo 등 중국 회사들이 선두에 서있다. 이는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전거를 찾고 다른 곳에 다시 가져다둘 수 있게 한 것이다. 중국 교통운수부 부부장은 중국의 4억 사용자가 2300만대의 공용자전거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 번역=이동경

자료 출처
http://www.bbc.com/zhongwen/simp/chinese-news-43624852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