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G7 ‘홍콩 간섭’ 강한 불만 표출

“중국정부는 헌법과 기본법에 따라 홍콩을 통제한다”

중국 외교부 겅솽(耿爽) 대변인은 27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 지도자 성명을 내고 중영 공동성명의 절차성과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폭력을 피하라고 호소했지만 홍콩의 사무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며 어떠한 외국 정부 조직이나 개인이 관여할 권리가 없다”고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겅솽 대변인은 “홍콩에서 벌어진 시위와 폭력이 두 달 넘게 계속되면서 홍콩의 법치사회 질서, 경제민생과 국제적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며 “홍콩 시민을 포함한 중국 인민보다 홍콩의 번영과 안정에 더 관심을 갖는 사람은 없으며, 중국 스스로의 일이 잘 처리될 것이니, G7 그룹의 구성원들은 더 이상 간섭하지 말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중영공동성명의 궁극적 목적과 핵심은 중국의 홍콩 반환을 확정하고 홍콩에 대한 주권 행사를 재개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해야 한다”며 “‌홍콩이 조국으로 돌아오면서 중국 정부는 헌법과 기본법에 따라 홍콩을 통제하고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준칙에 따라 어느 나라나 조직도 중영 공동성명을 빌어 홍콩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덧붙였다.

홍콩 시위는 폭력사태로 치닫고 있다. 시위대가 방화를 하고 연소탄과 사제 무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홍콩의 캐리 람(林郑月娥) 특구수령은 27일 한 기자회견에 참석해 “시위대가 휘발유 폭탄 등 치명적인 위험의 무기로 홍콩 경찰을 습격하고 거리의 상점을 파괴하는 등 일반 홍콩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며 “홍콩 정부는 폭행보다는 법치로 '폭력제란(止暴制乱)'할 것이고, 홍콩 사회가 대화 시작에 유리하고 심도 있는 사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조속히 평정을 되찾기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