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전쟁이 경기침체 부른다

상업투자 감소에 유가 하락까지 겹쳐

미중 무역전쟁으로 미국의 상업 투자가 크게 둔화되면서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경제 전문가 글래스먼도 투자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 무역전쟁을 꼽는다.
미국 소비자신문과 상업방송(CNBC)은 17일 짐 글래스만(jim Glassman) 모건체이스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투자 둔화의 주원인으로, 유가 하락과 일부 항공기의 조업 중단을 꼽았다고 19일 보도했다. 글래스먼은 "세심히 살펴보면 자본투자의 하락은 올 여름 산업생산이 부진한 것처럼 에너지와 항공 분야에 집중돼 있다"며 “유가 하락과 보잉 737 맥스 8 정지 등 개별 사건이 자본투자 흐름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상적으로 회사 임원은 경기 확장기에 투자를 강화하기를 원하며, 경기 침체가 올 때 그들은 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며 그들의 비즈니스 투자를 둔화시킨다. 
하지만 올해 자본투자의 흐름은 산업별로 엇갈리고 있다. 글래스먼은 올 상반기 소프트웨어와 지적재산 투자의 연간 성장률이 7% 이상이라고 밝혀, 기업들이 기술업계에 성급하게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건축과 설비의 투자지출은 크게 줄었다. 글래스먼은 "올해 자본투자의 감속 중 약 3분의 1이 채광탐사, 수직갱, 유정 분야에 집중돼 있는데 여기에는 새로운 유정에 대한 투자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