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해외 수석 이코노미스트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2%에 못 미칠 것”

국가부채 비율은 국제 기준상 매우 낮은 수준, 재정정책 여력 충분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세인트레지스호텔에서 열린 한국 경제IR에 참석한 딕 리피 에버코어ISI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전망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이 2%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에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폴리시믹스(Policy mix·정책조합)가 있다면 조금 더 긍정적으로 본다"며 "지금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이 충분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기준금리에 관해서는 "재정정책이 좀 더 뒷받침된다면 더 낮은 금리로도 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0월 중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측하고 12월에도 추가 인하가 가능하다"며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전 세계적으로 35개국이 인하하는 등 (통화정책) 완화 트렌드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의 국가부채 비율이 40%보다 낮은 것은 국제 기준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사실에 주목하며, 한국이 충분한 재정정책 여력을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투자 매력도를 높일 방안으로 생산성 제고를 제일 먼저 꼽았다. 

 

리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구구조나 노동시장 포용성, 출산율 등의 문제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등의 변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