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해외 수석 이코노미스트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2%에 못 미칠 것”

국가부채 비율은 국제 기준상 매우 낮은 수준, 재정정책 여력 충분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세인트레지스호텔에서 열린 한국 경제IR에 참석한 딕 리피 에버코어ISI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전망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이 2%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에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폴리시믹스(Policy mix·정책조합)가 있다면 조금 더 긍정적으로 본다"며 "지금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이 충분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기준금리에 관해서는 "재정정책이 좀 더 뒷받침된다면 더 낮은 금리로도 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0월 중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측하고 12월에도 추가 인하가 가능하다"며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전 세계적으로 35개국이 인하하는 등 (통화정책) 완화 트렌드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의 국가부채 비율이 40%보다 낮은 것은 국제 기준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사실에 주목하며, 한국이 충분한 재정정책 여력을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투자 매력도를 높일 방안으로 생산성 제고를 제일 먼저 꼽았다. 

 

리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구구조나 노동시장 포용성, 출산율 등의 문제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등의 변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