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금은 간편송금 서비스가 대세, 하루 평균 2천억 원 훌쩍

간편결제 서비스도 크게 성장

최근 ‘간편송금 서비스’의 이용률이 크게 늘고 있다. 간편송금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미리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SNS등을 통해 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로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이 이에 해당한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의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금액(이하 하루평균)은 2천5억 원으로 이는 작년 하반기 대비 60.7% 늘어난 수치다. 이용건수는 218만 건으로 작년 하반기 대비 34.8%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간편송금 서비스 증가 배경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은 대형 전자금융업자의 서비스 이용 규모가 늘어난 것'을 가장 큰 영향 요소로 꼽았다.

 

한편 공인인증서나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OTP) 없이도 비밀번호 입력 등의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점도 ‘간편결제 서비스’도 이용실적을 크게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은 1천628억 원으로 전기 대비 15.8% 증가했고, 이용건수는 535만 건으로 전기 대비 18.2% 늘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온라인 쇼핑몰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이용 규모 역시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전자고지결제 서비스' 이용액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아파트 관리비 등 각종 이용대금의 수납과 정산을 대행하는 전자고지결제 서비스 이용액이 상반기에만 327억 원을 기록하며 전기 대비 21.7% 늘었다. 이용 건수는 전기 대비 17만5천 건으로 9% 늘어났다.

 

편의점 등에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자금이체가 가능한 중계 서비스 '직불전자지급 서비스'의 이용 건수도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서 직불전자지급 서비스의 이용금액은 전기 대비 34.3% 늘어난 2천939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이용 건수는 전기 대비 44.6% 증가한 1천381건이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