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장품 프랜차이즈, 10곳 중 2곳 문 닫아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 2년만에 8.2% 감소

작년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고 폐점률은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화장품 프랜차이즈의 매출 감소와 연쇄 폐점이 가장 두드러졌다.

 

2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40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가운데 현황 정보를 알 수 있는 182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맹점 1곳당 평균 매출은 2억8천969만 원이었다. 2년 전인 2016년(3억1천564만 원)과 비교하면 8.2% 감소한 수치다.

 

폐점률은 상승했다. 지난해 폐점률(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연말 시점 등록 가맹점 숫자+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은 7.9%로, 2016년에 비해 0.5% 올랐다.

 

한편 작년 연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 업종은 종합소매점으로 해당 업종의 평균 매출은 14억1천553만 원에 달했다. 이어 편의점 3억9천410만 원, 패스트푸드 3억7천421만 원, 화장품 3억2천913만 원, 제과제빵 3억2천895만 원, 피자 2억6천848만 원 등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였다.

 

반면에 치킨과 커피·음료는 각각 1억9천659만 원, 1억9천572만 원으로 2억 원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매출 감소폭이 큰 업종은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집계됐다.

 

화장품 프랜차이즈 업종의 평균 매출은 2016년에 4억8천413만 원에 달했으나 2년 만에 32.0%나 줄었다. 제과제빵(-19.0%)과 편의점(-11.4%)도 두 자릿수 매출 감소율을 보였다. 

 

가맹점 폐점률이 가장 높은 업종 역시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해당 업종의 폐점률은 지난해 21.7%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6.6%에서 무려 3배 이상 높아진 수치로 10곳 가운데 2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이어 커피·음료 업종의 폐점률이 9.6%, 외식 모음(9.4%), 치킨(8.0%), 피자(5.5%), 편의점(5.2%), 제과제빵(5.0%) 등이 5% 이상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해 가맹점 신규 개점률은 10.6%로, 2016년(15.2%)보다 4.6%포인트나 하락했다.

 

가맹점 연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는 GS더프레시로 26억3천154만 원을 기록했으며, 올리브영(13억8천830만 원)과 한신포차가(10억56만 원) 뒤를 이었다.

 

폐점률이 가장 높은 가맹점 브랜드는 스킨푸드로 무려 56.2%였고 더페이스샵(43.5%), 그램그램(42.1%), 로그인편의점(34.4%), 카페베네(34.4%) 등으로 조사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