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장품 프랜차이즈, 10곳 중 2곳 문 닫아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 2년만에 8.2% 감소

작년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고 폐점률은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화장품 프랜차이즈의 매출 감소와 연쇄 폐점이 가장 두드러졌다.

 

2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40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가운데 현황 정보를 알 수 있는 182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맹점 1곳당 평균 매출은 2억8천969만 원이었다. 2년 전인 2016년(3억1천564만 원)과 비교하면 8.2% 감소한 수치다.

 

폐점률은 상승했다. 지난해 폐점률(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연말 시점 등록 가맹점 숫자+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은 7.9%로, 2016년에 비해 0.5% 올랐다.

 

한편 작년 연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 업종은 종합소매점으로 해당 업종의 평균 매출은 14억1천553만 원에 달했다. 이어 편의점 3억9천410만 원, 패스트푸드 3억7천421만 원, 화장품 3억2천913만 원, 제과제빵 3억2천895만 원, 피자 2억6천848만 원 등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였다.

 

반면에 치킨과 커피·음료는 각각 1억9천659만 원, 1억9천572만 원으로 2억 원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매출 감소폭이 큰 업종은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집계됐다.

 

화장품 프랜차이즈 업종의 평균 매출은 2016년에 4억8천413만 원에 달했으나 2년 만에 32.0%나 줄었다. 제과제빵(-19.0%)과 편의점(-11.4%)도 두 자릿수 매출 감소율을 보였다. 

 

가맹점 폐점률이 가장 높은 업종 역시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해당 업종의 폐점률은 지난해 21.7%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6.6%에서 무려 3배 이상 높아진 수치로 10곳 가운데 2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이어 커피·음료 업종의 폐점률이 9.6%, 외식 모음(9.4%), 치킨(8.0%), 피자(5.5%), 편의점(5.2%), 제과제빵(5.0%) 등이 5% 이상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해 가맹점 신규 개점률은 10.6%로, 2016년(15.2%)보다 4.6%포인트나 하락했다.

 

가맹점 연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는 GS더프레시로 26억3천154만 원을 기록했으며, 올리브영(13억8천830만 원)과 한신포차가(10억56만 원) 뒤를 이었다.

 

폐점률이 가장 높은 가맹점 브랜드는 스킨푸드로 무려 56.2%였고 더페이스샵(43.5%), 그램그램(42.1%), 로그인편의점(34.4%), 카페베네(34.4%) 등으로 조사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