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보이콧 재팬’ 日항공여객 15%↓…”동남아 간다”

국내선 여객은 3.2% 증가해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올해 3분기 일본을 오간 항공 여객이 작년보다 15%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베트남, 필리핀, 대만 등 아시아 노선 여객 증가로 전체 항공 여객은 증가해 단일 분기별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29일 국토교통부는 3분기(7∼9월) 항공 이용객이 전년 동기보다 4.4% 증가한 3천123만 명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단일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인 직전 분기 3천123만 명을 넘어선 실적이다.

 

구체적으로 국제선 여행객은 2천291만 명으로 전년보다 4.8% 늘었고 국내선 여행객은 832만 명으로 3.2% 증가했다. 국토부의 조사에 따르면 국제선 여객 증가는 여름방학 및 휴가, 추석 연휴 등 계절적 요인의 영향이 컸으며, 저비용항공사(LCC)의 공급석 확대, 여행객 증가 등도 영향을 크게 미쳤다.

 

지역별로는 일본·대양주 노선이 줄어든 반면, 중국·아시아·미주·유럽 등 노선은 증가세를 보였다.

 

일본 노선 여객은 '보이콧 재팬' 운동 확산에 따라 지난해 3분기보다 14.6% 감소했다. 3분기 기준 일본 노선 여객 증감률은 2016년 33.9%, 2017년 25.0%, 작년 3.5%로 쭉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올해 -14.6%로 하락했다.

9월 5주차 기준 여객은 작년 35만4천411명에서 올해 22만5천646명으로 36.3% 줄었다.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여파로 감소했던 중국 노선 여객은 496만 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올랐다. 이는 한한령 이전인 2016년 3분기(578만 명)보다 14.1% 낮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노선(중국·일본 제외)은 베트남(22.5%), 필리핀(35.6%), 대만(20.0%) 등 노선이 운항 증편 영향으로 여객이 13.3% 증가해 증가세를 이끌었다.

 

미주(4.4%), 유럽(8%), 기타(1.3%) 노선도 여객이 증가했고, 대양주(-0.5%)는 감소했다.

 

국내선 여객은 공급석 증가, 외국인의 제주 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3.2%(제주 2.0%·내륙 11.1%) 증가한 832만 명이었다.

 

어명소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항공 이용객이 3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나, 9월엔 2017년 7월 이후 처음으로 -0.3%의 감소세를 보였다."며 "동남아, 중국 등 노선 다변화를 지원하는 한편, 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