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방세시스템 미비로 139개 골프장에 과세 부과 안 해

최근 5년간 누락된 과세 98억 원에 달해

 

최근 5년간 전국에 있는 139개의 골프장에서 98억 원이 넘는 재산세 및 취득세가 부과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지방세정보시스템에 ‘과세 누락 방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탓이다.

 

30일 감사원이 공개한 '정보공유 등 데이터기반 행정 추진 실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행안부는 2005년부터 각 지자체의 과세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세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행안부 장관은 효과적인 지방세 부과를 위해 '지방세기본법'에 따라 지방세정보시스템, 지방세 관련 다른 정보시스템 간 연계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감사원이 전국 130개 지자체 관내 441개 골프장을 대상으로 최근 5년간(2014∼2018년) 과세 내역을 조사한 결과 경기 안산시 등 62개 지자체 관내 139개 골프장에 대해 재산세 등 총 98억5천693만 원의 과세가 누락됐다.

 

재산세· 취득세를 납부해야 하는 골프장은 송수관과 지하수·하수도 시설 등 급·배수시설을 보유한 곳에 해당한다.

 

감사원은 “각종 인허가정보를 담은 '새올행정정보시스템'에 지하수·하수도 시설에 대한 허가 내역이 있는데도 지방세정보시스템과 연계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들 골프장에 대해 세금이 적게 부과되거나 누락됐다”고 밝혔다.

 

이에 행안부 장관에게 지방세정보시스템에 과세 누락 분석·알림 기능을 정비, 관련 시스템과 연계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또한 62개 지자체장에게 과세 누락분을 부과·징수하라고 덧붙였다.

 

한편 화물차 사업자들에게 유류보조금 지급을 위해 나눠주는 ‘유류구매카드’ 관리·감독이 부실해 부정수급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이 최근 5년간(2014∼2018년) 발급된 유류구매카드 128만9천725개를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이 중 7천218개가 발급 당시 이미 화물사업자가 폐업 상태였으나 신규 발급 또는 재발급이 가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2년간(2017∼2018년) 유가보조금 지급 내역과 휴·폐업 이력을 점검한 결과, 실제 화물운송업을 하지 않을 확률이 높은 휴·폐업 화물차주 7천233명에게 총 38억 원 상당의 유가보조금이 지급됐다.

유가보조금 지급 관리·감독 업무는 국토교통부 담당이다.

 

감사원은 국토부에 국세청의 사업자등록 정보를 연계해 유류구매카드 발급 검증을 강화하고, 유류구매카드 발급 이후에도 휴·폐업한 화물차주의 주유 내역을 분석하는 등 부정수급 방지 방안을 마련하라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