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장사 내년 실적 올해보다 26%↑ 예상돼

순이익 29%•영업이익 26% 상승 예상

내년 국내 주요 기업의 수익성이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낸 주요 상장사 279곳의 내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65조7천919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131조616억 원)보다 26% 증가한 수치이다.

 

증권사들의 조사에 따르면 내년 순이익은 올해(94조5555억 원)보다 29.2% 상승한 122조2천247억 원으로 예상된다.

내년 매출액은 올해(1천881조9천521억 원)보다 5.8% 늘어난 2천30조8천344억 원이 될 전망이다.

 

조사 대상 상장사 279곳 가운데 255곳은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다.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 상장사는 24곳에 불과했다.

 

종목별로 내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37조2천711억 원으로 올해보다 35.7% 늘어나고 순이익은 33.1% 늘어난 29조2천913억 원으로 예상됐다.

 

SK하이닉스의 경우 내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6조7천587억 원, 5조1천267억 원으로 올해보다 각각 134.3%, 112.9%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 밖에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4조7천670억 원, 네이버 1조732억 원, LG화학 1조9천396억 원, 셀트리온 5천785억 원으로 전망됐다.

 

올해 이들 279곳 상장사의 올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작년보다 각각 26.7%, 27.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액은 약 2% 증가하는 데 그칠 예정이다.

다만 주요 상장사의 올해 4분기 실적은 대체로 호전될 것으로 보여 주요 기업 실적이 이미 바닥을 쳤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의 조사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의 실적 전망치가 있는 주요 상장사 250곳의 올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29조9천929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5% 올랐다. 순이익은 33.9% 상승한 21조6천487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100조원대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실적 턴어라운드의 시작"이라며 "지연됐던 경기 사이클이 회복하고 이익 레벨이 복원되면서 약세 트렌드를 벗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올해보다 17% 증가한 102조원으로 전망한다"며 "기업이익 증가는 반도체 업황 호전과 기업들의 이익률 개선이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난 2년간 둔화했던 투자 사이클이 반등하면 반도체 수요가 회복되고, 낮은 원자재가격이 유지되면서 기업들의 이익률도 차츰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내년에도 후반기로 갈수록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커지고 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수출 둔화 폭 축소에 따른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면서도 "기저효과에 의해 수출 증가율은 개선되나 실적 증가는 미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2020년 한국 증시는 실적 바닥론이 이어지며 연초에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나,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 둔화 우려 및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이 불거지며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