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장사 내년 실적 올해보다 26%↑ 예상돼

순이익 29%•영업이익 26% 상승 예상

내년 국내 주요 기업의 수익성이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낸 주요 상장사 279곳의 내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65조7천919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131조616억 원)보다 26% 증가한 수치이다.

 

증권사들의 조사에 따르면 내년 순이익은 올해(94조5555억 원)보다 29.2% 상승한 122조2천247억 원으로 예상된다.

내년 매출액은 올해(1천881조9천521억 원)보다 5.8% 늘어난 2천30조8천344억 원이 될 전망이다.

 

조사 대상 상장사 279곳 가운데 255곳은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다.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 상장사는 24곳에 불과했다.

 

종목별로 내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37조2천711억 원으로 올해보다 35.7% 늘어나고 순이익은 33.1% 늘어난 29조2천913억 원으로 예상됐다.

 

SK하이닉스의 경우 내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6조7천587억 원, 5조1천267억 원으로 올해보다 각각 134.3%, 112.9%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 밖에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4조7천670억 원, 네이버 1조732억 원, LG화학 1조9천396억 원, 셀트리온 5천785억 원으로 전망됐다.

 

올해 이들 279곳 상장사의 올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작년보다 각각 26.7%, 27.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액은 약 2% 증가하는 데 그칠 예정이다.

다만 주요 상장사의 올해 4분기 실적은 대체로 호전될 것으로 보여 주요 기업 실적이 이미 바닥을 쳤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의 조사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의 실적 전망치가 있는 주요 상장사 250곳의 올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29조9천929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5% 올랐다. 순이익은 33.9% 상승한 21조6천487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100조원대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실적 턴어라운드의 시작"이라며 "지연됐던 경기 사이클이 회복하고 이익 레벨이 복원되면서 약세 트렌드를 벗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올해보다 17% 증가한 102조원으로 전망한다"며 "기업이익 증가는 반도체 업황 호전과 기업들의 이익률 개선이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난 2년간 둔화했던 투자 사이클이 반등하면 반도체 수요가 회복되고, 낮은 원자재가격이 유지되면서 기업들의 이익률도 차츰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내년에도 후반기로 갈수록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커지고 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수출 둔화 폭 축소에 따른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면서도 "기저효과에 의해 수출 증가율은 개선되나 실적 증가는 미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2020년 한국 증시는 실적 바닥론이 이어지며 연초에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나,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 둔화 우려 및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이 불거지며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