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0월 말 韓 외환보유액 4천63억달러…’9개월만 최고치’

외환보유액 순위 세계 9위

한국은행은 5일 지난 10월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한 달 전보다 30억달러 늘어난 4천63억2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9개월 만에 경신한 사상 최고치다.

 

한은 측은 “미 달러화가 약세를 띠면서 유로화, 엔화 등 기타통화로 표시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가치가 늘어난 게 외환보유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주요 6개국 통화로 달러화 가치를 평가한 달러화 지수는 지난달 말 97.65로 지난달 말 대비 1.5% 하락(달러가치 감소)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4천55억1천만달러)까지 3개월 연속 사상 최대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 이후 달러화 강세로 1월 보유액을 넘어서지 못했다.

 

10월 말 외환보유액 자산구성은 유가증권이 3천738억달러(전체의 92.0%)로 한 달 전보다 7억달러 줄었다. 또한 은행에 두는 예치금은 216억8천만달러(5.3%)로 36억6천만달러 증가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이 1천만달러 늘어난 33억7천만달러(0.8%), IMF 포지션이 3천만달러 증가한 26억7천만달러(0.7%)였다. 금은 47억9천만달러(1.2%)로 이전과 동일했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순위는 지난 9월 말(4천33억달러) 기준으로 세계 9위를 유지했다.

여전히 1위는 중국(3조924억달러)이였으며 2위는 일본(1조3천226억달러), 3위는 스위스(8천352억달러)로 드러났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