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졸자 7400위안 월급 희망

베이징‧상하이 등 대도시 근무 선호
생활정보서비스 플랫폼 ‘58통청’ 조사

중국 대졸자들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고, 희망월급은 7400만위안으로 조사됐다. 또한 인터넷 업종이 구직 1순위로 꼽혔고, IT·인터넷 출신이 기업에 가장 인기 있었다.

 

25일 중국 최대 생활정보서비스 플랫폼 '58통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 대학생들의 평균 희망월급은 7409위안, 기업은 대졸업자에게 평균 7094위안을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58통청이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651개 대학교, 20여만명 대학생과 25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월급은 대학생들의 관심이 높은 내용으로, 대학생들의 평균 기대월급은 대학생들의 소득수준과 비교한 예상치와 부합했다.

 

 

또 대학생들이 취업을 선택하는 도시는 층급이 높을수록 임금 기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도시에 취업하는 대학생들의 평균 기대월급은 8151위안, 신 일선도시는 7394위안, 2선 6478위안, 3선 및 이하 도시에 취업한 대학생들의 평균 기대월급은 5696위안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가장 바라는 직장복지는 주택급여와 의료보험 보충으로 나타났다. 87.42%의 대학생 기대주택급여, 77.34%의 대학생은 의료보험 보충, 3위와 4위는 검진복지 및 사무실 친환경 조치였다.

 

대학생들은 여전히 일선 도시를 구직 1순위로 꼽힌다. 이상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청두, 선전 순이다.

 

 

작년과 비교해도 IT·인터넷, 금융은 여전히 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업종으로, 온라인 교육, 지식 비용 지불 등의 영향으로 교육·훈련 업종이 4.85% 상승해 3위에 올랐다.

 

IT·인터넷 업계는 구직 대박일 뿐 아니라 기업 채용자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기업캠퍼스의 채용목표 학과열이 가장 높은 1, 2위는 인터넷과 IT통신으로 각각 41.63%, 37.77%를 차지했다.

 

또 금융과 급속 소매업에 대한 수요도 높아 금융은 기업 발전의 '조혈동력'이고, 금융 인력도 기업의 강점인 데다 신규 소매업이 성장하면서 빠른 소매업에도 많은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사원 채용 요소 중 전공배경과 출신대학, 학력, 인턴 경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출신 대학은 13.15%, 인턴은 10.70%로 각각 떨어졌고, 학력과 경력은 1.35%, 3.24% 높아졌다.

 

특히 채용기업들은 대학생의 팀워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83.26%가 채용에서 이 능력을 고려, 2위와 3위에 각각 소통 영향력과 창의력을 꼽았다.

 

또한 산업의 크로스오버가 진전되면서 신입사원들이 종종 전공을 초월한 일에 종사해야 되고 기업들의 전문적인 배경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