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남녀 소득 격차 더 벌어졌다

종전 해소 기간 202년에서 257년으로 늘어

교육과 기대수명 등 남녀 성평등은 어느 정도 근접했지만 소득격차는 올해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종전 소득격차 해소 기간이 202년이었지만 올해 257년으로 늘었다.

 

 

세계경제포럼이 17일 발표한 '2020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남녀 소득 격차가 더 벌어져 2018년으로 예상됐던 202년보다 반 세게 이상 늦은 257년이 걸릴 전망이다.

 

남녀가 교육과 위생·기대수명 분야에서 각각 96.1%와 95.7%에 이르면서 성평등을 달성하는 것에 근접했다. 하지만 경제 참여 분야에서 성 평등 추구 노력은 2018년 58.1%에서 2019년 57.8%로 뒷걸음질 쳤다.

 

153개 국가 가운데 아이슬란드는 성 평등 상황이 가장 좋은 나라로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84.2%), 핀란드(83.2%), 스웨덴(82.0%), 니카라과(80.4%), 뉴질랜드(79.9%), 아일랜드(79.8%), 스페인(79.5%), 르완다(79.1%), 독일(78.7%) 순이었다.

 

여성은 소매업 등 자동화 충격이 가장 심한 업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다. 더 중요한 것은 임금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업종에 충분이 많은 여성들이 진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미래에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거의 모든 작업군에서도 엄청난 불평등이 존재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엔지니어링, 데이터와 인공지능, 제품 개발에 있어 여성의 수가 적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