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중국의 부동산 중개업소

중국 부동산 중개업소 간판에 있는 용어들이다.

整租房 집 전체 임대, 合租房 룸쉐어링,
二手房出售 (이미 지어진) 집 매물, 日租房,短租房 하루 임대, 단기 임대

 

 

 지난 주말, 30여 년간 근무했던 회사로부터 조그만 물품이 배송되었다. 박스를 열어보니 마스크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걱정이 많겠지만 건강에 유의하라는 당부의 글과 함께, 구매하기 어려운 마스크를 보내온 것이다. ‘정말 좋은 회사에서 근무 했었구나’라는 고마운 마음이 다시금 들었다.

 

 중국 근무 동안에도 그러했다. 해외 주재원으로 근무하게 되면, 보통 주거비 지원을 받는다. 회사에 따라, 직급에 따라 지원금액에 크게 차이가 있다. 중국 특히 북경은 한국인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살기 때문에 어느 아파트 몇 동에 거주한다고 하면, 어느 수준의 지원을 받는지 금세 알아차리게 된다.

회사 오너가 관심을 갖고 챙겨주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회사 간에는 간극이 크다. 본인은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해도, 가족들 보기에 면이 서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중국의 주택 밀집지역에서는 부동산 중개업소를 곳곳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간판에는 보통 집을 나타내는 ‘房’이나 ‘家’ 글자가 들어있다. 개인이 운영하는 규모가 아주 작은 업소도 있지만, 보통 체인점 형태로 규모가 제법 되는 중개업소가 많다.

 

체인점 명칭이 재미있다.  ‘我爱我房 - 나는 우리 집을 사랑해’  ‘连家地产 - 홈 링크 부동산’  ‘鑫鑫辉房产 - 흥하고 빛나리 부동산’ 등이다.

 

 평일 아침이면 아파트 단지가 행진곡풍의 시끄러운 노래들로 부산하다. 부동산 중개업소 직원들이 아침 조회를 하는 것이다. 학교를 갓 졸업한 20대 앳된 청년들이 하얀 셔츠에 검정바지의 정장을 한 차림새로 노래를 합창하며 영업 실적을 올리고자 결의를 다진다. 계약 한 건만 성사시켜도 제법 벌이가 되니 젊은이들이 모여 들겠지만, 생소한 모습이었다.

 

 전세제도가 일반적인 우리와는 달리, 중국에서는 월세로 주택을 임차해야 한다. 특이한 점은 아파트에 웬만한 가구와 전자 제품들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은 기본이다. 거실에는 소파와 장식장, 방마다 침대, 책상 등이 거의 구비되어 있다. 집의 인테리어 수준과 비치된 품목들에 따라 월세 가격은 당연히 달라진다.

 

 월세 입주 시 押金(보증금)을 낸다. 고약한 집주인을 만나면, 계약기간이 다 되어 나갈 때 온전히 돌려받기가 어렵다. 집안 구석구석 흠을 찾아내 押金(보증금)에서 공제하려 든다. 이런 경험을 겪게 되면 입주하자마자 문제가 있는 곳은 카메라로 다 찍어 집주인에게 확인을 받아놓게 된다.

 

 생활하는 동안 집과 관련한 갖가지 소소한 문제가 발생한다. 전등이 끊어지기도 하고, 가스레인지가 고장 나거나 심지어 변기가 막히기도 한다. 거래했던 부동산 중개업소에 연락만 하면 된다. 중개업소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 주는 기술자가 있어서, 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은 전기, 수도, 가스요금이 선불식이다. 신용이 낮은 사회일수록 신용이 낮아 발생할 수 있는 대금환수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이런 방식을 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슷한 사례로 자동차 보험료 납입방법도 무조건 일시납이다. 분납을 허용하지 않는다. 회사로서는 비용측면에서나 분납안내를 제대로 했는지의 분쟁도 줄어들어 편하긴 하다.

 

 아파트 입주할 때 전기, 수도, 가스 각각의 카드를 준다. 아파트 관리 사무소(物业)에 가서 미리 충전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샤워하다가 물이 갑자기 안 나오는 황당함을 겪게 된다. 전기도 순식간에 나가버린다. 수시로 전기 계량기를 보고 잔량을 체크해 카드 충전을 하지 않으면 낭패를 보게 된다.

 

 귀국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일이다. 아이 학교 진학문제로 전셋집에 거처하고 있었다. 열쇠가 고장나 집 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자, 아이가 부동산 중개업소로 뛰어갔다. 빨리 수리해 달라는 아이와 여기서 고쳐줄 수 없다는 부동산 중개업소간의 신경전이 한동안 계속 되었다.

 

 

 

 

 

 

 

 

 

오승찬

연세대 경영학석사

(전) 현대해상 중국법인장

(전) 중국 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