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차가움이 있기에 뜨거움이 있고, 낮은게 있어 높은게 돋보인다.

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盈, 音聲相和, 前後相隨, 恒也



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盈, 音聲相和, 前後相隨, 恒也

(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형, 고하상영, 음성상화, 전후상수, 항야)



노자의 가르침이다.

 



세상은 조화다. 

 

차가움이 있기에 따뜻함이 있음을 우리가 안다.

 

생명은 물체지만 아무것도 없는 빈 곳에서 나온다.

 

이룸이란 쉽고 어려움이 뒤섞인 것이다.

 

한 가지 높이, 한 가지 색으로만 모양을 만들 수 없다.

 

낮은 게 있어 높은 게 돋보인다.

 

바탕이 있어 위에 놓이는 색이 도드라지는 것이다.

 

값이 정해진 소리만으로 노래가 나오지 않는다.

 

음과 음을 이어가는 소리, 때론 떨림의 소리가 있어 노래가 아름다워지는 것이다.

 

내가 뒤에 서지 않으면 내 앞에 서는 이도 없다.

 

네가 내 뒤를 따르지 않으면 내가 앞에서는 일도 없다.

 

따름이란 누군가가 앞서기에 있을 수 있는 일이다.

 

누구가가 따르기에 전후가 있는 것이다.

 

 

조화가 바로 아름다움이다.

 

영원한 것이다.

 

반대로 유나 무만 있으면 생명이 없고,

쉬움이나 어려움만 있으면 이룸이란 있을 수 없다.

 

긴 것만 있고 짧은 것만 있으면 모양이 나오지 않는다.

높음만 있고, 낮음만 있으면 어찌 충일이 나오겠는가?

 

음만 있고, 바이브레이션만 있으면 노래가 아름다울 수가 없다.

나도 너도 따르지도 앞서지도 않는데 어찌 따름이라는 게 존재할 것인가?

 

 

노자 가르침의 정수다.

 

조화가 바로 자연이요, 하늘의 도다.

이 땅에 흔하디흔한 일상의 도다.

세상 만물을 꿰뚫은 도다.

 

하나의 도에 맞춰 돌아가는 자연에 비상이라는 게 있는가?

 

비상은 언제가 일시적이다.

잠시 존재할 뿐 영원하지 않다.

비상의 도가 어찌 진리의 도라 할 것인가?

 

자연을 보라.

 

높다고 잘나고 낮다고 못난 게 있는가?

앞섰다고 뻐기고 뒤졌다고 풀 죽는 게 있는가?

있다고 교만하고 없다고 천시하게는 게 있는가?

 

차가움 있어 뜨거움을 알고

둘이 조화를 이루기에 인간에게 가장 아름다운 따스함이 나오는 것이다.

 

우리는 이 일상의 도를 따르고,

그 따스함을 즐기면 될 일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