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경제인구 숙련되고 고급화되는 중, 노동인구 평균 38.4세 평균교육 10.44년

 

 

중국도 생활수준과 의료시스템의 향상으로, 근로인구의 교육기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인력이 고급화되고, 또한 근로자 평균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숙련도도 나라 높아지고 있다.

 

중국CCTV는 어제 7일 , 중국 중앙재경대학 (中央财经大学) 이 매년 연구발표하는, 2020 중국인력자본 보고서 《中国人力资本报告 2020》를 미리 받아 분석한 기사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의 근로인구의 평균연령이 지난 1985년 32.2세에서 , 2018년 38.4세로 6.6세가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이러한 근로인구 연령의 장년화 현상은, 특히 북부지방들이 더 높았고 남부지방들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즉 북방지역의 근로자들보다 남방지역의 근로자들이 더 젊다는 말인데, 이는 북방지역에는 중공업 자동차공업등 숙련근로자가 필요한 업종들이 발달한 것에 비해, 남방지역은 비교적 짧은 기간 훈련으로 근로를 제공하기 용이한 의류나 식품등 경공업이 발달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 이 보고서는 밝혔다.

 

특히 근로연령이 높은 5개지역은 중국 최북방의 동북3성인 헤이롱지앙 성과 랴오닝 성 지린성 순으로 다 포함됐으며 중부의 충칭직할시와 후난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근로연령이 낮은 5개지역은 , 중국 최남방인 광동성과 신쟝위구르자치구, 하이난 성과 궤이저우 성 그리고 시짱티벳자치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광동성은 전통적으로 의류와 식품등 경공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관련 근로자들의 연령이 낮았고, 신쟝과 시짱자치구 그리고 궤이저우성 은, 중국당국이 우선 동부연안지방을 발전시킨 후에, 서부대개발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했기에 관련 공업의 수준정도도 낮고, 또 이 지역인구의 교육도 늦게 시작됐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연령이 아직 젊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중국 중앙재경대학의 2020년 중국인력보고서는, 또 근로자들의 평균 학업연한도 크게 늘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1985년 6.2년에서 2018년에는 평균 10.4년으로 늘었다. 즉 과거에는 소학교(초등학교) 졸업으로 사회생활을 했다면, 현재는 평균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교육 수준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평균교육연한은 이렇지만, 소도시 이상인 시 과 쩐 (城镇)급의 근로자들은 11.3년로 , 시골인 향과 촌( 乡村) 의 중학교 졸업수준인 9.0 보다 크게 높았다.

 

한편 홍콩의 근로자 평균연령은 39 세였고, 타이완은 조금 더 높은 39. 5 세로 나타났다.

 

중앙재경대학은 또 , 전 중국의 인력(근로자)의 가치총량을 화폐액수로 산정했는데, 중국인력의 가치총량은 2,614 만 억위안으로 집계되었고, 도시와 농촌의 비율은 87.5% 대  12.5%의 비율이었다.

 

지역별 인력의 가치가 가장 높게 산출된 상위 5개 성은,  산동 (山东) 、광동( 广东)、허난 (河南)、쟝쑤( 江苏) 그리고 허뻬이 (河北) 성순이었고, 하위 5개 성은,깐쑤(甘肃)성、하이난( 海南)성、닝시아(宁夏)회족 자치구、칭하이( 青海)성 그리고 시짱 (西藏) 자치구 순이었다.

 

그리고 1인당 평균 인력가치가 높은 상위 5개지방은 베이징 상하이 텐진 저쟝성과 안훼이성이었고,하위 5개지방은 시짱과 신쟝자치구, 그리고 윈난성 깐쑤성과 칭하이성이었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