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민생은행 지점장 고객돈 5년간 8억위안(1,350 억원)횡령, 사상 최고액

 

중국 유수의 민생은행 베이징시의 한 지점장이, 사치와 허영에 눈이 멀어 고객들에게 가짜 고율이자상품을 팔면서, 막대한 고객돈을 빼낸 혐의로, 종신 무기징역형을 확정받았다.

 

21세기경제보도신문과 신랑재경등 중국매체들은 지난 10일,  2012년부터 5년간 고액예금주들을 대상으로 27억 4,600억 위안 (한화 환산 약 4천 600억 원) 의 가짜 재테크상품을 팔았고, 이중 1/3인 약 8억 위안 ( 한화 환산 약 1,350억 원) 을 횡령해 사용하다 적발된 지점장에게, 2심에서 무기징역이 확정됐고, 종범인 부 지점장은 9년 징역형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2심제로, 지난해 12월 1심에서도 장잉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는데, 당시 검찰원은 항소해 2심에서 사형판결의 선고를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사건의 주인공은, 80년 생으로 인민대학 금융과를 졸업한 엘리트 지점장으로 알려진 장잉( 张颖,40,여)이다.

 

장잉은 인민대학졸업생이라는 고학력으로 민생은행에 들어가, 31살 때인 2011년에 베이징 시내지점의 지점장으로 발령받았을 때도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타고난 사치와 허영심이 강했던 탓에 바로 다음해인 2012년부터 실적과 성과급을 위해 부 지점장과 짜고, 최고 12.5%의 고율의 가짜 재테크상품을 팔기 시작했다고 중국매체들이 전했다.

 

장잉은, 2012년 6월부터 2017년 4월 발각될 때까지, 147명의 고객들에게 27억 4,600억 위안 (한화 환산 약 4천 600 억원) 에 상당하는 가짜 재테크 상품을 팔아 상당액을 편취해 온 혐의를 받았다.

 

통상 금융기관의 금융사고는 고객의 돈을 횡령해, 주식투자등으로 횡재를 해 돈을 메꾸려 했다가 여의치 않자 들통나는 것이 정형적인데, 중국매체들은 자세한 관련소식을 전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눈길을 끄는 것은, 그가 그동안 사치와 허영행각을 벌이기 위해 빼낸 돈이 8억 위안 였다는 대목이다.

 

한화로 환산하면 무려 1,350 억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은행 고객의 돈을 횡령해왔던 것이다.

 

매체들에 따르면, 장잉은 그동안 베이징 고궁 인근에 수 십억원에 달하는 중국전통의 사합원( 四合院)을 비롯해 무려 20채의 아파트와 부동산을 구입했다고 한다. 

 

 

장잉은 또 천 3백억원에 달하는 횡려한 돈으로, BMW등 고급외제차 10대와 사치품들을 샀고, 탕카 (唐卡: 시쟝티벳 장족의 고대회화) 와 문화재급 자단 (紫檀)나무 가구와 허텐옥 (田玉)의 보물급 장식물과 보석등 헤아릴 수 없는 사치와 허영행각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지점장의 위치에서 2012년부터 5년 동안 횡령한 고객돈 약 1,350 억원으로, 30대 중반의 여성이 소비한 항목은 일일히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중국매체들은 전한다.

 

장잉이 횡령한 돈은, 민생은행이 압수한 부동산과 동산들을 처분해 보상해야하고 부족액도 은행의 부담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민생은행은 이번 사고의 감독소홀로 약 2,750만 위안 ( 한화 환산 약 46 억원) 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민생은행은 1996년 설립됐고, 2020년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500대 기업중 239위에 오른, 중국의 국영은행중 하나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