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 중국민영 100대기업 6위 아리바바 ( 阿里巴巴)

 

1999년 9월, 마윈등 초기 공동창업자 18명이 저쟝성 항저우에서 창립했다.

 

 

2019년 6월 현재 직원수는 103,699 명, 2019년 총 매출은 4,888 억 위안으로 보고된다. 

 

아리바바는 2020년 미 포츈지 선정 세계 500대기업 순위 132위이고, 중국 인터넷상거래 양대산맥의 경쟁자인 진동은 102위 였다.

 

아리바바보다 순위가 앞선 글로벌기업은 미국 보잉사 ( 120위 ) 일본 소니 (121위) 가 있다.

 

아리바바는 창업직후부터 막대한 외부투자를 유치한다.

 

창업 한달 째인 1999년 10월 중국내 투자자에게서 500만 달러 (한화 환산 약 50억원) , 넉달 째인 2000년 1월 일본의 소프트뱅크 (손정의)로부터 2,000만 달러 (한화 환산 약 200억원) 투자유치에 성공.

 

2000년 9월 항저우에서 인터넷업계 오피니언리더들을 초청해 , 세미나를 열면서 중국과 세계의 주목을 받고,

 

2003년 5월 첫 인터넷 구매사이트인 타오빠오왕 ( 淘宝网)의 영업을 시작한다.

 

2005년 10월 중국야후를 접수하고

 

2007년 11월 홍콩증시에 상장

 

2009년 11월 11일 , 중국에서 최초로 슈왕스이( 双十一 、11월 11일)  쇼핑이벤트를 개시해, 단 하루동안의 인터넷구매 신기록을 써가기 시작한다. 

 

2012년 티엔마오 ( 天猫 ) 즉, T-Mall 로 개명.

 

 

2014년 9월 뉴욕증시에 상장하고, 인터넷 구매자들에게 소액대출을 해주는 마이금융( 蚂蚁金融、ANT 금융/ 개미금융)회사를 창립해, 외상으로 인터넷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중국 최초로 도입한다.

 

이 마이금융은 , 할부구매시스템인 즈뿌빠오 (支付宝/ 알리페이) 와 연계돼, 개인 신용과 별도로 소액대출을 유행시켜 막대한 이자수익을 발생시키는 알짜회사로 몸집을 불렸으나, 부작용으로 수많은 신용불량자와 연체 채무자들을 양산했다.

 

이런 부작용을 주시하던 중국금융정책기관은 지난 4일, 마이금융의 상하이와 홍콩 동시 상장을 하루 앞두고 전격 상장취소를 명했다.

 

2015년 5월 창업자 마윈이 인터넷쇼핑회사를 종합금융회사로 발전시키기 위해, 2014년 설립한 마이금융에 전념하기 위해 장용( 张勇、1972년생 ) 에게 수석집행관을 넘기며, 형식상 은퇴를 선언한다.

 

2019년 9월 장용이 아리바바 그룹의 이사회 회장에 취임한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