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설명절 민생투어와 함께 공군부대격려방문, '국토수호에 휴일없다' 강조.

 

시진핑 국가주석이  다음주 중국최대명절인 춘지에 ( 春节) 설연휴를 맞아, 2박 3일동안 중국서부 궤이저우(贵州) 성의 소수민족마을과 공군부대를 방문해 민생과 국방을 다잡는 행사를 가졌다고 , 신화통신과 CCTV등 매체들이 어제 6일 주요소식으로 공개했다.

 

시진핑주석은 지난 4일 오전 , 궤이저우 성의 모처에 위치한 공군비행단을 방문해, 인민의 군대는 휴일과 무관하게 국토의 안전과 코롼19 방역에 앞장서는 모습으로 인민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매체들이 보도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당 중앙 군사위원회의 주석직도 겸하고 있는데, 춘지에를 전후한 일주일의 장기 휴일을 앞두고, 공군 부대들은 철통같은 국토방위 근무망을 구축하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날 군부대 행사는 시주석이 중앙군사위원회를 대표하는 자격으로 치뤄졌다는 점을 강조한 신화통신등 매체들은 , 인민의 군대는 국토방위뿐만이 아니라 수많은 인원들이 이동하는 춘지에 기간동안 코로나19 방역을 지원하는 임무도 게을리 하지 말것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들은, 이 날방문은 이와 같은 이유로 이 공군비행단이 지역 방역을 위해 특별하게 운영하고 있는 군부대 병원의 시설부터 점검하는 순서로 시작했다고 전했다.

 

매체들은 또, 춘지에 휴일동안에 인민의 군대는 비상당직시스템을 잘 구축해 유사시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고했으며, 이 부대가 운영하는 특수목적항공기 ( 고고도 정찰기 ) 에 탑승해 내부 첨단기기들도 점검했다고 전했다.

 

시진핑주석은 이 부대 순시를 마치며,  주요지휘관들과 우수 조종사들과 합동촬영을 하고 당 중앙 군사위원회가 마련한 춘지에 선물도 전했다고, 매체들이 보도했다.

 

 

한편 시주석은 이 날 공군부대 시찰의 하루 전 날인 3일에는, 궤이저우 성의 삐지에시 첸시현의 묘족 마을인 화위춘 ( 毕节市 黔西县 新仁苗族乡化屋村 ) 을 방문해, 명절축하와 함께 빈곤탈출정책의 완성된 현장도 시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시진핑주석의 집권 2기인 2018년부터 중국서부지역의 산간마을과 농촌들의 빈곤탈출정책을 1순위로 시행해 왔다.

 

 

매체들은, 이 날 방문한 화위춘 묘족마을은 이 빈곤탈출정책 시행으로 강변 마을에 새로운 가옥들이 신축됐고 집앞까지 자동차가 들어갈 수 있는 도로망등 일체가 완비됐다는 현장을 시 주석이 주민들과 함께 둘러보았다고 보도했다.

 

시주석의 이번 행보는, 바이든 새행정부 이후에도 더욱 첨예화되고 있는 서방의 대중국 견제와 함께 코로나19로 어려워질 수 있는 일반 기층민들의 민생에 대한 지도자의 관심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이뤄 진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