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인구절벽 심각에 대한 중국인 생각은? ... 남 걱정하기 전에 우리부터 걱정하자.

중국도 고령화 심해...출산율은 갈수록 떨어져

"출생아 수 27만 2004명, 전년대비 3만300 명이 줄었다."

최근 우리나라 2020년도 출생아 수에 대한 언론의 보도다. 한 해 28만명의 아이도 태어나지 않는다니, 참 걱정이 된다. 전년대비 감소율은 10%에 달한다. 두자리수의 감소율이라면 5년내 아이가 하나도 태어나지 않는 시대가 올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한민족 아이의 출생은 하나도 없고 죽는 이만 있다니...

사실 지난 2020년 우리나라 사망자 수는 30만5001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만해도 전년 대비 1만명, 3.4%가 늘었다.

인구구조가 출생보다 사망자가 늘어나는 데드크로스를 지나면서 인구의 본격적인 감소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우리나라 상황에 중국인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다음은 중국 네티즌들이 우리나라 기사를 보고 쓴 댓글들이다.

 

 

사회의 큰 추세로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정말 아이를 가질 엄두가 나지 않아.

 

남 걱정하기 전에 자신을 걱정하자.

 

한국과 일본 다음은 우리야.

 

유럽 백인들도 비슷하게, 점차 아프리카계로 대체되고 있어.

 

집값과 생활비가 계속 올라서 이런 국면을 완성한 거 아닌가.

 

일본과 한국 두 개의 반식민지에는 발전에 천장이 있어,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중국은 달라.

 

음. 마지막 말은 좀 거슬린다. 중국 국뽕 냄새가 심하게 난다. 세계화 시대 독립과 자주적이라는 말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는듯 하다. 그런 식으로 세계에서 가장 독립적인 나라를 꼽으라면 '북한'이다. 너무나 독립적인 나라다. 그래서 행복하다고 스스로 떠든다. 아무도 밎지 않지만...

제일 와닿는 답변은 "우리 먼저 걱정하자"는 주장이다.

사실 중국도 이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 진입한 지 오래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사회문제가 중국으로 가면 문제가 10배, 아니 100배 이상 심각해진다는 점이다. 중국은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중국의 고령화 인구 자체도 한국의 10배 가량이 된다. 

정말 맞다. "중국 네 걱정이 좀 많이 된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