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샨시성 고분에서 출토된 동항아리에 2,700년된 포도주가 액체상태로 발견되다.

 

지난해부터 샨시(山西)성 박물관이 성내 위엔츄안현 ( 垣曲县) 에서 발굴중인 베이바이어(北白鵝) 고분군 발굴작업중, 1호 분에서 약 2,700년 전의 매장 당시 구리 술병에 담아 합장했던 술이 , 액체형태로 고스란히 발굴돼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즉 지구상에서 2,700년 전에 담궜던 술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샨시성박물관과 함께 발굴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과학원대학(中國科學院大學) 고고학 및 인류학과 양이민(楊益民) 교수팀은 이 술의 성분이 포도로 담근 술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시간적인 최장 최고의 기록이지만, 알코올의 성분뿐만 아니라 여전히 술이라는 액체의 형태로 발굴된 것으로도 가장 오래된 기록적인 발굴로 평가된다고, 샨시 일보( 陕西日报)가 지난달 17일 보도했다.

 

 

샨시성박물관과 중국과학원대학(中國科學院大學) 고고학 및 인류학과 양이민(楊益民) 교수진은 , 지난해인 2020 년 4월부터 12월까지 구조 발굴 작업을 수행했는데 그 동안 약 500점 이상의 보물급 유물들을 발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중 동으로 만든 항아리에서 발견된 이 번 포도주 성분의 술은, 그 잔량도 많지 않아 매우 귀중하게 여겨져 특수 보관되고 있다.

 

발굴팀은 그동안 중국에서 과실주를 담근 역사는 한 나라 때 중국 서부 깐수와 신쟝지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발굴로 중국의 포도주 양조기술이 그동안의 추정시기보다 훨씬 오래 전인 약 2,700년 전으로 소급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발견한 것이라고, 샨시르빠오는 덧 붙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