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운영 개시...전국 단위 관리 가능해져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전국 통합 방식의 탄소배출권 거래방식을 도입했다.

그동안 중국 권역별 거래방식을 택해왔다.

중국의 국가 단위의 보다 체계적인 탄소 배출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글로벌 '탄소 넷 제로'에 동참한다고 하면서도 그 시한을 놓고는 유럽과 이견이 큰 상황이다. 중국은 자국 사정에 따라 목표 달성 시한을 늦춰 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은 16일 중국의 임시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인 상하이거래소가 이날 오전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중국은 베이징직할시, 상하이직할시, 광둥성 등 7개 시범 지역에서 권역별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따로 운영했다. 정식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는 조만간 설립될 예정이다.

전국 통합시장에는 중국내 발전 기업 2천여 곳을 참여하게 된다. 중국 당국은 향후 적용 업종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중국의 발전산업은 아직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그만큼 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의미다. 

이날 첫 거래 탄소배출권 가격은 1t당 52.78위안(약 9천300원)이었다.

중국 민간 연구기관인 로듐그룹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세계 온실가스의 27%로 세계 1위다. 2위인 미국(11%)의 약 2.5배 많은 수치다.

탄소배출권 시장도 그만큼 규모가 크다. 앞서 권역별로 거래에서 중국의 누적 탄소배출권 거래량과 금액은 각각 4.8억t, 114억 위안(약 2조원)에 달했다.

자오잉민(趙英民) 중국 생태환경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통합거래 시장 개설로 전국적인 탄소배출권 거래가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