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의 디디추싱에 대한 규제는 미국 투자자는 물론, 중국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특정 기업에 대한 당국의 갑작스런 규제 강화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운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 관련 산업 발전에도 장애가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이 해외 증시에 디디추싱 같은 기업을 규제하는 대가로 오는 2030년까지 한화로 최대 5경 원이 넘는 비용을 치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의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의 프레더릭 캠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글을 CNBC 방송에 기고했다.
그는 글에서 "이번주 글로벌 투자자들은 중국 공산당이 장악력을 유지하는 데 얼마를 치르겠다는 것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면서 "2030년까지 중국이 신규 자금 흐름에서 45조7천억 달러(약 5경2천조 원)에 달하는 비용을 치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30년 중국 자산 및 부채 규모는 총 48조6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지금처럼 규제를 하고 나서면서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가 늘지 않아 지난 2020년 규모(2조9천억 달러)에 머물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즉 중국 당국은 신규 투자분을 규제에 대한 기회비용으로 치르게 된다는 것이다.
캠프 CEO는 중국 당국의 태도는 서방 자본의 투자 결정도 어렵게 하도록 하지만, 중국 내부 기업 입장에서 서방 자본의 투자 자체를 꺼리게 하는 효과도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디디추싱은 지난 1일 뉴욕증시에서 상장에 성공 44억달러(약 5조원)의 자금을 새로 조달했지만 중국 당국의 규제로 기업 가치가 폭락하고 말았다.
현재 투자자들은 주가가 폭락에 대해 소송까지 나선 상황이다.
중국 당국은 디디추싱과 같은 중국인의 빅데이터를 확보한 기술기업이 미 증시에 상장하면서 데이터 유출에 대해 크게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디디추싱 외 중국 기업이 2020∼2021년 미 증시 신규 상장을 통해 모은 자금은 260억 달러 (약 29조원)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