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인공지능(AI) 연구실적 지난해 처음으로 미국 추월

 

이제 인공지능(AI) 기술도 중국이 미국을 앞섰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이 내놓은 보고서다. 미국이 중국의 기술 굴기를 억제하려는 이유가 분명해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8일 미국 스탠퍼드대학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학술지에 실리는 AI 관련 논문의 인용 실적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미국이 중국에 뒤졌다.

연구자들이 중국 연구를 인용한 것이 20.7%에 달했다.

반면 미국 연구 인용률은 19.8%에 머물렀다.

지난 2000년 이래 중국은 컴퓨터와 인터넷 분양에서 '기술굴기'를 시도해왔다.

당시만해도 중국의 관련 연구 논문은 제로상황이었다.

그러던 것이 불과 20년만에 인용률 20%를 돌파한 것이다. 

반면에 미국은 2000년 당시 관련 분야 논문 인용률이 40%에 달했다. 오늘날 IT미국의 토대가 바로 연구논문들이었다는 것을 알수있다.

그러던 것이 계속 뒷걸음질 해 20% 미만으로 떨어졌다.

영국 특허·학술 정보업체인 클라리베이트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올해까지 나온 AI 논문 누적 건수는 중국이 24만 건에 달해 세계 1위다.

미국은 15만 건으로 2위다.

인도가 약 7만 건으로 3위이고,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스페인, 캐나다, 이탈리아는 모두 5만 건 미만으로 4~10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순위에는 한국은 10위권 밖이다.

또 AI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인공신경망학회'(NeurIPS)가 발표한 현황(2019년)에는 AI 연구원의 중국 출신 점유율이 29%를 차지했다.

미국 출신 비율은 20%에 그쳤다. AI 분야 전문인력에서 중국이 미국을 크게 앞서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이 중국 인력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중국 내부에서 육성돼 내부에서 일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닛케이는 AI 연구로 칭화(淸華)대, 상하이교통대 외에 저장(浙江)대학, 하얼빈(哈爾濱)공업대학 등이 유명하다고 전했다. 논문 발표 실적이 있는 AI 인력을 각각 2천 명 규모로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미국이 뒤늦게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대응에 나서면서 미중 기술 주도권 다툼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