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취업시장서 해외유학파 급증, 학력 인플레 심화

 

'33.9%'

중국에서 지난 2020년 귀국해 일자리를 구하고 있는 해외 유학생들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다. 무려 34%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귀국을 서두른 탓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들이 전한 ‘2020 중국 해외취업창업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중국 내에서 구직하는 해외 유학파의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3.9% 증가했다.

보고서의 수치는 중국 현지에서 제출된 이력서를 바탕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매년 귀국해 일자리를 찾는 중국 해외 유학파들의 숫자는 꾸준히 늘어왔다. 지난 2019년은 전년보다 5.3%, 2018년에는 4.3% 늘었다.

하지만 2020년은 이 같은 증가폭이 무려 4배 이상 커졌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가 해외 유학생들로 하여금 대거 귀국길에 오르게 한 것으로 풀이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구직자의 연령별 분포는 25~34세가 64.6%로 가장 많았다.

16~24세는 지난해보다 4.5%포인트 확대된 27.9%였으며, 35세 이상은 10% 미만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IT/통신/전자/인터넷 업종이 해외 유학 출신 지원자의 22.1%를 채용했고, 생산/가공/제조업이 12.3%, 무역/도소매/임대업이 10.5%로 뒤를 이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