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리커창 총리, 안정적 전력 공급 중요성 재확인

 

전력난 재발 방지에 총리까지 나섰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최근 수개월 동안 중국 전역에서 발생한 전력 공급 제한 현상 재뱔 방지를 위해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인민일보는 24일 리 총리가 상하이시 경제 현장 시찰 중 한 화력발전소를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현장에서 리 총리는 화력발전소 관계자 면담하고 “산업생산과 민생을 위한 전력 공급이 제한되는 일이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발전용 석탄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리 총리는 지난 22일 주요 성(省)급 행정구역 책임자들과 간담회에서도 “산업 현장에 막대한 혼란을 초래한 송전 제한 조처가 다시는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석탄 수급 불안과 함께 이번 전력 대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경직된 탄소배출 저감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경직된 탄소배출 정책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무리하게 현실의 문제를 야기하는 정책 집행 태도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관료주의, 행정편의주의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9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전국 31개 성(省)급 행정구역 중 최소 20곳에서 제한 송전이 이어져 제조업 생산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정부 당국이 10월부터 저탄소 정책을 후순위로 미루고 일일 석탄 생산량을 1200만t 이상으로 올리는 등 대대적인 석탄 증산을 추진하면서 전력 대란은 일단 해소된 상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