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싱크탱크 “미중 갈등으로 중국 IT 한계 봉착” 지적

 

 

중국의 국제관계 핵심 싱크탱크가 “미중 갈등으로 중국의 IT 산업이 한계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3일 베이징대 국제전략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과 미국 간 과학기술 디커플링 이후 중국이 더 큰 타격을 입었으며 그 결과 중국의 IT 산업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대 국제전략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과학기술 디커플링 전략이 중국의 선진 기술 확보와 인재 유치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은 디커플링 이후 반도체 제조 등 대부분의 기술과 산업 분야에서 현저하게 뒤처졌을 뿐 아니라 기술 진공상태에 빠졌다”며 “특히 중국이 최근 급성장했다고 자부하는 AI(인공지능) 분야에서도 미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중국이 자부하는 항공우주 분야 역시 미국에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항공우주 분야는 미중 간 상호 의존이 적은 분야이지만 중국은 여전히 핵심 부품을 미국과 다른 서방 국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 IT 산업이 한계에 봉착한 근본 이유로 인재 부족을 들었다. AI 분야의 경우에 고급 인재의 34%만 중국에 남고 56%는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반대로 미국에 유학하고 있는 인재들은 88%가 현지에 남고 10%만 중국으로 귀국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