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무역협회, 중국 애국소비(궈차오) 대응전략 보고서 발간

 

‘궈차오(國潮)’는 중국의 1990∼2000년대생 사이에서 확산하는 애국소비 트렌드를 의미한다.

중국의 경제 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품질 향상과 함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역사와 가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강조하면서 궈차오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최대 할인 행사인 쌍십일 쇼핑축제 기간에는 검색 포털 바이두에서 중국 상품 관련 검색량이 전년 대비 42% 증가해 애국소비 경향의 심화를 보여주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8일 ‘중국의 궈차오(애국소비) 열풍과 우리 소비재 기업의 대응전략’을 발간했다.

보고서는 “제조 중간재에 치우쳐 있는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애국소비 등 트렌드를 반영한 소비재 진출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궈차오 열풍에 힘입어 2021년 중국의 소비시장은 전년대비 12.5% 성장하며 사실상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했다. 중국 소비재 시장이 성장하면서 우리나라의 소비재 수출도 2021년 역대 최대인 88억1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다만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 중 제조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에 육박하는 반면 소비재 비중은 3~5%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보고서는 “궈차오가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중국의 독특한 시장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궈차오 브랜드를 보유한 중국 소비재 기업들의 성장 사례를 소개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 상위 20개 기업 중 중국 기업은 2017년 6개에서 2020년 8개로 늘었다. 그 가운데 이셴, 저장이거 등의 시장점유율은 2018년 각각 69위와 70위였으나 2020년 19위와 30위로 뛰어올랐다. 의류 산업에서도 리닝, 안타 등이 뛰어난 품질을 바탕으로 2021년 성장률 44.2%, 73.8%를 기록했다.

편명선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소비재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궈차오 등 트렌드와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 개발, 프리미엄 시장 진출, 지방도시 적극 진출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