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무역협회, 중국 부유층 소비 트렌드 보고서 발표

 

 

중국 부유층의 소비가 갈수록 늘고 있다. 1000만 위안(약 19억 원) 이상인 중국인은 296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이 갈수록 그 층이 세분화하고 두터워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내 급증하는 부유층의 규모와 소비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2일 ‘2022년 중국 부유층 명품소비 트렌드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현금, 예금, 주식, 부동산, 기타 투자 등의 자산(자가 거주 주택 및 유동성이 낮은 자산 제외)이 1000만 위안(약 19억 원) 이상인 중국인은 296만 명으로 추산됐다.

부유층의 추정 총자산은 96조 위안(1경 8320조 원), 1인당 평균 투자 가능 자산은 3209만 위안(약 61억 원)에 달했다.

성·시별 분포를 보면 화동지역(상하이,장쑤,저장,안후이,푸젠,장시,산둥)과 화남지역(광둥,광시,하이난)에 부유층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 부유층의 가구당 연 소비액이 2020년 기준 175만 위안(약 3억3000만 원)에 이르며 주 소비처는 여행(19%), 자녀교육(18%), 명품소비(16%)라고 설명했다.

또한 투자 가능 자산이 1억 위안(약 190억 원) 이상인 초부유층의 연 소비액은 316만 위안(약 6억원)이며 주 소비처는 명품소비(19%), 자녀교육(18%), 여행(15%)으로 조사됐다.

부유층과 초부유층 모두 소비처의 절반 이상을 여행, 명품소비, 자녀교육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공동부유(共同富裕) 정책에 따라 중국 내 명품 시장의 성장이 제한될 경우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 재개와 함께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쇼핑 해외 관광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