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2021년 글로벌 매출 6368억 위안

 

'6368억 위안, 순이익은 1137억 위안'

화웨이의 2021년도 경영성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76%가량 오른 수치다.  화웨이가 어닝서프라이즈를 실현했다. 정말 말그대로 깜짝 성과다. 

올해 초만해도 대략 30%이상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전년 동기 대비 두 배에 가까운 실적이 나왔다.

화웨이의 성과는 미국의 제재 속에서 이뤄내 더욱 눈길을 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견제가 무색해진 것이다. 

물론 중국 정부의 후방 지원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1년 연례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화웨이의 글로벌 매출은 6368억 위안, 순이익은 113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9% 증가했다.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 국면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렸다. 2021년 매출의 22.4%인 1427억 위안을 연구개발에 투입해 10년간 누적 R&D 비용이 8450억 위안에 달했다.

디지털 경제 발전의 물결이 도래함에 따라 화웨이는 ICT 기술을 업계와 깊이 통합하여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디지털 변혁을 촉진해 수익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연례보고서는 화웨이가 2021년 정부, 교통, 금융, 에너지 및 제조와 같은 핵심 산업에 대해 11가지 시나리오 기반 솔루션을 출시하고 스마트 고속도로 등을 구축해 자원을 통합함으로써 고객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이를 반영하듯 전 세계 700개 이상의 도시와 267개 주요 기업(포춘 500대 기업)이 디지털 혁신을 수행하기 위해 화웨이를 선택했다. 서비스 및 운영 파트너의 수는 6000개 이상으로 증가했다.

화웨이의 선전은 중국 당국이 원했던 그림이다. 미국의 제재는 중국이 원한다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려 했고 일견 성공한 듯 보인다.

하지만 진정한 성공은 더 두고 봐야 한다. 화웨이 실적도 마찬가지다. 지속적인 성과를 올릴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